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고전 한의서의 골질환 빈용 방제에 대한 네트워크 약리학적 분석 및 골다공증의 주요작용기전 검증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2-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원광대학교
연구책임자 한상용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본 연구에서는 기존 한의서에서 골 질환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들을 선별하여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에 의해 골다공증의 타겟 유전자의 효능 예측을 하고 이를 근거로 하여 in vitro와 in vivo 실험을 통해 파골세포 분화 억제 및 파골세포 세포자멸사, 또는 자가포식작용에 영향을 확인하여 골 질환의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응용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기존 한의서에서 골다공증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의 네트워크 약리학 분석을 통해 골 질환의 타겟 유전자의 효능 예측 및 발굴 - 기존 한의서에서 골다공증에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인 녹용사근환(鹿茸四斤丸), 반룡환(斑龍丸), 삼기음(三氣飮), 청아지황탕(靑蛾地黃湯),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육미지황원(六味地黃元)으로 리스트작성 - 한국전통지식포탈(http://www.koreantk.com)를 통해각 방제들의 출처, 주치병증, 구성약재, 그리고 각 약재의 구성성분 도출 및 목록작성 - 도출된 구성성분과 연계되는 단백질과 protein-protein interaction(PPI) 네트워크 분석 - PPI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hub들의 유전자 정보가 골 질환에 관련 여부확인 (Therapeutic target database (http://bidd.nus.deu.sh/group/ttd/ttd.asp)를 이용하여 골다공증, bone disease, bone resorption 과 관련된 각각의 target gene을 확인) ○ 파골세포 분화 및 마우스 질환 모델에서의 효능 및 기전 검증 - 고전의서에서 빈용되어 사용된 방제 중 육미지황탕과 그 외 오가피, 육계, 황련이 후보 물질로 선별 및 골 질환 관련 인자 선정 - In vitro실험을 위한 마우스로부터 primary cell 분리 확립 - 파골세포 분화의 효능평가는 TRAP<sup>+</sup> 다핵세포 수의 억제, TRAP 활성 억제, bone resorption pits 형성 억제, F-actin ring 형성 억제로 확인 - 파골세포 분화의 주요인자인 c-Fos, NFATc1, MAPKs pathway 그리고 NFATc1의 하위인자인 TRAP, OSCAR, Atp6v0d2, Cathepsin K, OC-stamp, DC-stamp, MMP-9 등 인자들의 억제확인 - 난소적출술로 인한 골 손실 동물 모델 확립 - 난소적출술로 손실된 골 질환 동물모델에 후보물질의 골 손실회복 관련 기전 확인 ○ 파골세포 자멸사와 자가포식작용에 대한 효능 및 기전 확인 - 후보물질과 인자에 대한 파골세포 자가포식작용의 효능 및 기전확인 - 후보물질과 인자에 대한 파골세포 세포자멸사의 효능 및 기전확인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 계획 및 기대효과(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기존의 약리학적 연구방법으로는 제한되었던 한의학의 복합방제의 효능과 작용기전, 질병에 대한 이해에 기여함. - 네트워크 분석으로 처방의 기전을 설명하는 가설 그리고 추후 연구의 우선순위를 정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어떤 질환에 사용되는 다양한 처방의 기전을 분석함에 따라, 가감 및 새로운 처방의 개발을 이끌어 낼 수 있음. - 중국 TCM database가 아닌 우리나라의 방제의 특징에 적합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한약의 안전성과 유효성의 입증 할 수 있는 과학적 증거를 제시함. - 골다공증에 있어 파골세포 분화의 억제 효능 이외에 파골세포 세포자멸사 및 자가포식작용의 기전연구를 통해 골다공증의 치료제 개발에 새로운 접근방식을 제공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20001590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