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의목적 PD-1를 표적하는 항체를 방사선 동위원소 혹은 인도시아닌 형광 물질을 결합시켜 1) 종양의 PD-L1을 영상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유전체 분석 기반으로 2) 종양내의 면역세포를 분석하는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핵의학적/영상학적/종양내면역세포를 기반으로하는 면역항암제의 반응성을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 개발하며, 향후 암환자에서 임상시험 수행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함 ■ 연구의 내용 < 1차년도 > - PD-L1를 표적하는 항체를 방사선 동위원소와 인도시아닌으로 레이블하는 프로토콜을 확립하고, 항원을 인지하는 능력을 훼손하지 않고 종양에서 발현하는 PD-L1과 결합하는 표지자를 붙인 항체 제작 - 유전체(RNAseq)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양 내의 면역세포 수와 종류를 분석하는 도구 개발 < 2차년도 > - 표지자(방사성 동위원소, ICG)를 붙인 anti-PD-L1 항체를 종양을 이식한 동물로 주입하고, PD-L1과 결합한 항체를 PET/Xenogen를 이용한 영상화하는 시스템 구축 - ICG의 표지자를 가진 anti-PD-L1을 적용하고, 마우스에 이식된 종양에서 면역세포의 활성/비활성을 분석하는 시스템 구축 - 표지자를 붙인 항체를 이용한 PD-L1의 영상을 체계적으로 RADIOMICS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영상학적 바이오마커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 확립 - 표지자를 붙인 항체를 이용한 PD-L1의 영상화를 암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한 IND filing 연구개발성과 < 정량적 성과1) > 1) 총연구기간 내 목표연구성과로 기 제출한 값 < 정성적 성과 > - 종양의 TIME 변화를 비침습적 방법으로 모니터링하는 기술 확보 - 기관에서 Zr89를 사용하는 허가서 획득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향후 PD-L1의 핵의학적 영상 수집을 위한 임상시험 IND filing 을 위한 자료로 활용 - 영상학적, 분자병리학적, 면역학적 데이터를 기반을 면역항암제의 바이오마커를 개발함으로써 암치료의 정밀의학 구현을 위하여 활용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