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차세대 중력파검출기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17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동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strong>1. 서론</strong><br /> <br /> 2015년 2세대 지상 중력파검출기인 aLIGO(advanced LIGO)와 aVirgo(advanced Virgo)가 쌍성 블랙홀(Binary black hole, BBH)이 병합(coalescence)할 때 방출되는 중력파를 최초로 직접 관측한 이래로 중력파 천문학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다[1]. 중력파 천문학은 다른 관측 방법으로는 탐색이 불가능한 중력파의 발생 기원과 중력의 성질에 대한 흥미로운 정보가 담겨 있으며, 특히 밀집쌍성병합(compact binary coalescence), 감마선 폭발(gamma-ray bursts), 초신성 폭발(supernovae), 인플레이션(infla-ion) 등의 사건들의 관측을 통해 무거운 별의 마지막 진화 과정, 밀집성의 생성과 진화, 초신성 폭발 과정, 고에너지 광자 및 뉴트리노 발생 기작, 은하와 성단 역학 및 중력장 등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다[2]. 또한 중력파 관측은 전자기파가 도달할 수 없는 빅뱅 핵합성기(Big-bang nucleosynthesis) 이전의 우주 생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2].<br /> <br /> 중력파는 질량을 가진 물질의 가속운동에 의해 시공간 중력장의 곡률에 발생한 진동이 광속으로 진행하는 파동을 말하며[2], 1916년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에서 그 존재가 예언되었다. 중력파는 빛의 속도로 진행하는 횡파라는 점에서 전자기파와 유사하나, 전자기파가 시변하는 전하 쌍극자에 의해 형성되는 이중편광(dipole polarization)을 가진 파동이라면 중력파는 시변하는 질량과 에너지의 사중극(quadrupole) 분포에 의해 생성되는 45&deg; 기울어진 사중편광(quadrupole polarization)을 가진다[3]. 중력파검출기의 핵심 구조인 간섭계 기반 구성은 1990년대에 Kip Thorne, Rainer Weiss, Ronald Drever에 의해 제안되었으며, 양팔(arm)에 페브리-페롯(Fabry-Perot) 공진기를 포함한 마이켈슨(Michelson) 타입의 레이저간섭계로 이루어져 있다(그림 1). 레이저에서 방출된 빛은 빔 스플리터를 통해 양방향의 팔로 분리하여 보내고, 반대편에 있는 거울을 통해 반사되어 오는 빛을 광검출기로 받아들인다. 이때, 두 팔의 길이가 동일하다면 광검출기에서 받아들이는 빛은 보강간섭을 일으킨다. 만일 물체에 중력파가 도달하면 중력파는 물체에 신축(stretching)과 압착(squeezing)을 일으켜 검출기의 한쪽 팔의 길이는 늘어나고, 다른 팔의 길이는 줄어든다. 미세한 두 팔의 길이 변화에 의한 경로차 때문에 레이저 빛의 위상차가 생기게 되고 중력파로 인한 신호를 감지한다.<br /> <br /> 본고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중력파검출기의 주요 이슈 및 과제에 대해 다루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3세대 중력파검출기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br /> <br /> <strong>**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strong>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51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