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노로바이러스는 국내 식중독 발생원인 중 1위를 차지하며 노로바이러스성 식중독의 발생과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손실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임. 특히, 노로바이러스의 주요 매개식품인 신선 농산물과 이매패류의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식중독의 발생이 집단화되고 있음. 반면, 현장 적용이 가능한 식중독 검출법과 바이러스 배양법의 부재로 노로바이러스를 제어하기 위한 연구가 제한적임. 따라서, 본 연구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유망분야이나 식중독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는 신선 과채류와 수산물의 생산과 유통과정 중 오염된 휴먼노로바이러스의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자성복합체를 이용한 정량적 검출법과 화학적 및 물리적 비가열 기술을 활용, 각 식품별 특성에 맞는 복합제어기술을 개발하여 생산/유통/판매 현장에 보급함으로써 안전한 농수산물 공급에 기여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목표: 비가열살균/허들기술의 노로바이러스 in vitro 최적사멸조건 설정 및 정량 검출법 개발 Human norovirus(HNV)의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면역자성복합체(IMS-qRT PCR) 신기술과 Murine norovirus(MNV)를 이용하여 노로바이러스의 최적 사멸 조건을 설정하였음. 비가열 살균기술은 화학적 기술(차아염소산나트륨, 에탄올, 과산화초산, 과산화수소, 이산화염소, 구연산, 젖산)과 물리적 기술(전자선조사, 감마선조사, 자외선, 초고압처리, 저온 플라즈마, 초음파)을 선정하였음. 노로바이러스 in vitro 상 처리 결과, HNV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요오드, 자몽종자추출물 처리 시 저감화 효과를 보였고, MNV는 저온플라즈마와 초음파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저감화 효과를 보였음. ○ 2차년도 목표: 비가열살균/허들기술의 신선과채류 중 노로바이러스 저감화 최적조건설정 및 정량적 검출을 통한 현장 적용성 검증 신선과채류(배추, 대파, 시금치) 중 노로바이러스를 제어하기 위해 화학적 기술(차아염소산나트륨, 과산화초산, 이산화염소)과 물리적 기술(자외선, 전자선)을 선정하였음. 신선과채류 중 HNV는 차아염소산나트륨 처리 시 2 log 이상 감소했고, 자외선 처리 시 불활성화되어 높은 저감화 효과를 보인 반면, MNV는 모든 처리에서 1 log 이상의 저감화 효과를 보였음. 배추의 생산 및 유통현장에서 허들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1800 mJ/cm 2 의 자외선과 50 ppm의 이산화염소의 복합처리 조건을 제시함. ○ 3차년도: 비가열살균/허들기술의 이매패류 중 노로바이러스 저감화 최적조건 설정 및 정량적 검출을 통한 현장 적용성 검증 이매패류(바지락, 홍합) 중 노로바이러스를 제어하기 위해 화학적 기술(차아염소산나트륨, 이산화염소)과 물리적 기술(자외선, 전자선)을 선정하였음. 이매패류 중 MNV는 모든처리에서 1 log 이상의 저감화 효과를 나타냄. 조개젓갈의 원료(바지락)에서 제품까지 생산 및 유통현장에서 허들기술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해 100 ppm의 이산화염소와 5.5 kGy의 전자선 또는 300 ppm의 이산화염소와 1 kGy의 전자선의 복합처리 조건을 제시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농산물과 수산물의 노로바이러스의 정량적 검출기술과 저감화 기술 개발 및 보급 ○ 유통 농산물과 수산물의 위생수준 향상 ○ 저감화 기술의 산업계 이전으로 수산식품의 안전성 제고 및 소비 확대에 기여 ○ 식품산업체의 농산물과 수산물의 위생적 안전처리 및 취급 요령의 교육 훈련 자료 ○ 식품산업 전반의 살균 및 위생수준 확보 기술 개발에 기여 ○ 노로바이러스를 제어하는 독창적인 신기술로서 과학기술 발전에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