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2016년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Ⅳ. 연구 결과 1.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선 ○ 근거 모니터링 대상인 규모성과 진보성 측면에서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는 타당성 확보 가능성이 존재하나, 가스에너지, 지능형 수자원관리 임시분류는 불확실성이 존재하였다. ○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의 관련 과제수와 정부연구비 모두 2015년에는 전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다. 2015년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 관련 과제수는 3,272개로 전년대비 1,823개 증가하였고, 정부연구비는 1조 9,194억원으로 전년대비 6,417억원이 증가하였다. 기존 정규분류의 33개 대분류와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를 비교한 결과, 2015년 기준 과제수는 비교대상 35개 대분류(정규분류 33개+임시분류 1개+기타 1개)중 7위, 정부연구비는 2위에 위치하였다. 가스에너지, 지능형 수자원 관리 임시분류와 기존 분류를 동일 분야에서 비교하면, 2015년 과제수기준으로 동일 분야인 인공물 분야 113개 중분류(정규분류 111개+임시분류 2개)에서 가스에너지가 25위, 지능형 수자원관리가 88위, 그리고 정부연구비 기준으로 동일 분야인 인공물 분야 113개 중분류(정규분류 111개+임시분류 2개)에서 가스에너지가 88위, 지능형 수자원관리가 107위에 위치하였다. ○ 진보성 측면에서 2014년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 관련 SCI 논문수는 877편, 국내·외 특허등록 건수는 351건이었다.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 대비 비중은 SCI 논문수가 3.0%, 국내·외 특허등록 건수가 3.9%를 차지하였다. 기존 정규분류의 33개 대분류와 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를 비교한 결과(비교대상 35개 대분류(정규분류 33개+임시분류 1개+기타 1개)),인력 및 인프라 임시분류의 SCI 논문수는 14위 수준이었으며, 국내·외 특허등록 건수는 12번째에 위치하였다. 가스에너지 임시분류와 동일 대분류 내 8개 중분류와의 진보성을 비교해 보면, SCI 논문수와 국내·외 특허등록 건수 모두 2번째에 위치하였다. 지능형 수자원관리 임시분류와 동일 대분류 내 14개 중분류와의 진보성 비교해 보면, SCI 논문수는 6위, 국내·외 특허등록 건수 2번째에 위치하였다. ○ 영향 모니터링의 경우, 영향 범위 측면에서 2015년 기준으로 기존 정규분류 33개 대분류 중 인력 및 인프라에 의해 영향을 받는 대분류는 32개,가스에너지는 18개, 지능형 수자원관리는 12개 대분류였다. 영향 강도측면에서는 인력 및 인프라가 정규분류로 신설되면 정부연구비 측면에서는 물리학의 감소액이 2013년 1,522억원, 2014년 1,709억원, 2015년은 3,456억원으로 가장 많았으며, 상대적 감소 비중은 2014년 교육(56.2%)과 미디어/커뮤니케이션/문헌정보(53.5%)가, 2015년은 교육(61.1%)과 물리학(58.0%)이 높은 수준이었다. 가스에너지는 동일 대분류인 에너지/자원을 제외하면 재료와 화공에서 기존대비 각각 45개, 42개 과제가 감소하였고, 지구과학과 원자력에서 각각 62억원, 46억원의 정부연구비가 감소하였다. 지능형 수자원관리는 동일 대분류인 건설/교통을 제외하고,환경에서 12개 과제, 15억원의 정부연구비가 감소하였다. 2.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기반 구축 ○ 먼저, 국가연구개발사업 세부과제를 대상으로 융합 관련 투자현황을 분석하여 국가 융합연구 동향 분석 기반을 구축하였다. ○ 전반적으로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2년 대비 2015년 과제수는 5,715개에서 8,168개, 투자액은 1조 9,660억원에서 2조 2,868억원으로 증가하였다.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기초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기초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과제수가 2012년 59.4%에서 2015년 67.2%, 투자액이 2012년 32.8%에서 2015년 39.7%로, 단일과제 대비 높은 수준이었다. ○ 그리고 대학이 상대적으로 융합연구를 활발히 수행하였다. 2015년 대학은과제수 기준으로 5,815개, 투자액 기준으로 7,752억원의 융합연구(다학제과제)를 수행하였다. 전체 융합연구에서의 비중은 과제수 기준 71.2%,투자액 기준 33.9%를 차지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가 융합연구(다학제과제)를 가장 많이 수행하였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015년 국가연구개발사업 3,430개 과제, 1조 234억원을 융합연구에 투자하였다. ○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미래유망신기술(6T) 중 BT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2015년 전체 융합연구 대비 BT 분야 비중은 과제수가 43.2%(3,530개), 투자액(6,399억원)은 28.0%로 가장 높은 수준이었다.과학기술표준분류(연구분야) 중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기계, 보건의료 분야에서 투자가 활발하였다. 융합연구는 과학기술표준분류(적용분야)별 현황 중 공공분야에서는 건강 분야, 산업분야에서는 전자부품,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 장비 분야가 가장 활발하였다. 또한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산·학, 학·연, 산·학·연 협력유형에서 가장 활발하였다. ○ 둘째, 정규분류 타당성 평가의 보편성 관련 기반 구축을 위해 OECD와 주요 선진국의 과학기술분류체계 DB 탐색시스템을 확보·분석하였다. 대상 국가는 미국, 일본, OECD, 유럽연합, 독일, 프랑스, 캐나다, 호주·뉴질랜드, 중국 등 10개국이다. 3.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활용 ○ 표준분류체계는 「과학기술기본법」 시행령에 제시된 바와 같이,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평가 및 관리, 과학기술예측, 기술수준평가와 과학기술지식·정보의 관리·유통 등에 주로 활용된다. 이를 위해 표준분류체계의 다양하고 구체적인 현황 및 활용사례를 분석하였다. ○ 국가차원의 표준분류체계의 활용 예로는, 연구개발 활동조사에의 활용,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에의 활용, 그리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에의 활용 등이다. 그리고 부처·기관별 자체분류체계의 수립 현황 및 활용사례를 분석하였다. ○ 기관별 과학기술분류체계의 현황 분석을 위해 농촌진흥청, 연구재단,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 보건산업진흥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기상산업진흥원, 원자력안전재단 등의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 표준분류체계와 자체 과학기술분류체계의 활용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농림식품과학기술분류체계, ICT 연구개발 기술분류체계, 기상기술분류체계 등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 출처: 요약문 6p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37418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