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연차목표 1) 경쟁사 및 종래기술 검토 - 국내외 경쟁제품인 ATP방식의 장비/시약봉에 B/M 및 논문 및 특허분석을 통하여 종래의 유사기술을 통한 개발 목표 수립 명확화 2) Probe 개발 - 형광물질 및 DNA구조를 갖는 Probe 디자인 설계 및 최적화 3) Lysis Buffer 개발 - 세포용해 물질인 Lysis buffer와 Lysis를 희석하는 Reaction buffer 조성설정 및 최적화 4) 시약봉 Proto-type 시제품 개발 - 최적화된 Probe 및 Lysis, Reaction buffer를 넣을 수 있는 구조체 개발 5) 측정기기 시제품 개발 준비 - 시약봉을 넣을 수 있는 형태의 측정기기에 대한 디자인 및 기능 확정 * 개발되는 Proto-type (시제품) 시약봉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기 위하여 1차년도에 측정기기 시제품 개발 (H/W중심) 단계까지 확대하여 추진하였음 2. 개발내용 및 결과 1) Probe 개발 - 기술 이전된 Daul구조를 Single구조로 변경하여 Cell 농도별 유의차 있는 것을 확인함 - Probe를 안정화하기 위한 물질(B**) 추가로 안정 상태 유지가 가능성할 것으로 판단됨 2) Lysis Buffer 개발 - Lysis buffer : 기술 이전된 조성물에서 원가 상승요인이 있거나 기능상 문제가 없는 2~3 성분을 제거 및 변경함 - Reaction buffer : 기술 이전된 조성물 중 저 농도구간에서의 변별력 확대를 위하여 성분을 변경함 (C** → M**) 3) 시약봉 Proto-type 시제품 개발 - Probe, Lysis buffer, Reaction buffer를 넣을 수 있는 3단 구조의 시약봉 디자인 - 시약봉內Swab재질 후보 (PES, rayon, nylon) test 및 잠정선정 - Proto-type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시약 흐름성/기밀성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4) 측정기기 시제품 개발 - 시약봉 Size에 맞는 PDA Type의 현장 측정용 기기 디자인 및 시제품 제작 3. 기대효과(기술적 및 경제적 효과) 1) 기술적 효과 - 오염된 미생물중 활성화된 오염 미생물 측정이 가능하여 정확한 모니터링이 가능함 2) 경제적 효과 - 대부분 ATP방식 제품이 미국/일본에서 수입되고 있어 국산화를 통한 수입대체 효과 및 가격 경쟁력 확보를 통한 시장 확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함 4. 적용분야 현재 경쟁제품인 ATP방식의 제품이 선점하고 있는 식품 위생모니터링을 요구하는 시장을 대상으로 함 1) B2B시장 : 대형 급식전문 업체(CJ, 에버랜드 等) 및 위생관리 업체(세스코 等를) 대상식품 제조시설의 공정관리 모니터링 대상 2) B2G시장 : 관공서 및 지자체, 초/중/고/대학 학교 급식소 대상 ( 출처: 연차보고서 초록 3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