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C1 전환 균주 스크리닝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10-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충북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본과제의 최종 목표는 “Methanotrophs들이 서식하는 국내의 특수환경으로부터 다양한 생리적 특성을 가진 Methanotrophs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다. ◦ 국내외의 각종 생물자원 발굴기관(한국생물자원관)과의 공조하에 국내의 Methanotroph 특수환경 서식지 후보지 정보 확보하고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특수환경으로 부터 배양용 시료 확보 ◦ 서식지의 물리화학적 정보를 농화배양 배지 조성 디자인 및 배양조건 설정에 이용한다. ◦ 복합농화배양체에서 비배양 분자생태학적인 방법으로 Methanotroph 다양성, 신규성을 확인한다. 배양체로부터 total DNA를 추출하여 universal 16S rRNA gene 혹은 pmoA유전자를 이용하여 PCR 증폭을 실시한다. PCR product를 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기술을 이용 ◦ 난배양성 복합농화배양체의 특성분석을 위한 metagenomic analysis 실시하여 특성 분석을 실시하고, 순수배양된 methanotroph의 경우, 지놈 분석과 동시에 생리생화학적 진화학적 특성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개발성과 ◦ 국내 다양한 특수환경으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물리/화학적 특성 확보 및 분자생태연구를 위한 Metagenomic DNA 확보: 특수환경 methanotroph에 적합한 정량 PCR primer set 선정 및 methanotroph 분포 정보 확보. pmoA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분석을 통한 methanotroph의 분류학적 위치 추정 ◦ 다양한 일반조건 및 호산성 조건에서 methanotrph자원 배양 - Floating filter 법을 이용하여 농화배양체로부터 methanotroph 자원 확보 조건 확보 - 일반조건 및 산성 조건에서 methanotroph 자원 농화배양 성공 - pH3 & 4에서 자라는 호산성 methanotroph 순수배양체 자원 4 주 확보 - 배양이 되지 않는 호산성 methanotroph 자원 특성분석을 위하여 metagenome sequencing, assembly and binning을 통하여, 호산성으로 추정되는 genomic bin(Methylobacter, Methylocystis) 확보 및 호산성 적응 특성 규명 ◦ 해양 및 염전 조건에서 호염성 methanotrph자원 배양 - 해양퇴적층으로부터 메탄산화 활성을 보이는 methanotroph자원 농화배양체 확보 및 메타지놈 분석 - 해양퇴적층 메탄산화 농화배양체로부터 순수배양체 (Methylomicrobium) 확보 ◦ CSTR방법을 이용하여 고속 성장 methanotroph배양 - 다양한 퇴적층 시료를 이용하여, 연속배양기에서 flow rate를 높이면서 고속성장 methanotroph 농화배양 - 유속이 가장 높은 조건에서 분리한 고속 성장 Methylomonas 균주 확보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 새로 개발된 Methanotroph 배양기술은 앞으로 다양한 특수환경으로부터 각종 난배양성 유용 미생물의 신규 확보를 위한 기반 기술로 활용하고자 함. - C1 refinery processes 의 핵심소재로써 Process의 효율 향상에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함 ◦ 경제적․산업적 측면 - 다양한 C1 refinery 공정 개발에 따른 다양한 Methanotrophs 수요가 요구되며, 새로운 순수 분리 기술은 높은 산업적 가치를 가짐 - 신규 Methanotroph 의 확보 기술개발에 필요한 연구비를 고려하면, 확보된 자원의 다양한 C1 refinery processes에의 활용성은 매우 높음 - 미래의 대체 에너지자원 시장 성장과 더불어 Methanotroph 배양체 수요의 지속적 성장 가능하며, 이에 필수적인 기술로 에너지 산업발전에 기여함 (출처 :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03204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