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반도 일대에 분포하는 백악기 퇴적분지들에서 산출되는 척추동물 화석 연구와 이를 통한 진화사적 신이론을 구축하는데 있다. 이와 더불어 미화석(개형충)과 흔적화석들에 대한 연구를 심도있게 진행하였다. 연구는 아래의 6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연구기간 동안 총 3편의 논문(SCI 2편, KCI1편)과 학술발표를 통해 결과를 보고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지원사업을 통해 학생연구원 1명이 이학박사학위를 수여 받았다(2019년 8월). - 주요 연구 분야 - 1) 공룡알 화학분석을 통한 고기후 연구, 2) 화순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의 기재,3) 해남 일대에서 새롭게 발굴된 흔적화석 연구, 4) 전기 백악기 진주층 개형충의 분류학적 연구 및 생층서학적 연구, 5) 함평분지 개형충의 군집분석을 통한 생층서 연구, 6) 중국 연길분지 개형충 연구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공룡알 화학분석을 통한 고기후 연구(70%) 공룡알 화학분석이 완료되었으며, 이를 통해 산소 농도가 현재보다 8% 높다는 기존 결과와 상당히 일치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한 논문 작성은 진행 중이다. 2) 화순 소형 익룡 발자국 화석의 기재(80%) 화순에서 산출된 익룡 발자국 화석은 소형 익룡 또는 유체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밝혀졌으며, 이에 대한 기재는 완료된 상태이다. 추후 SCI급 논문으로 투고 예정이다. 3) 해남 일대에서 새롭게 발굴된 흔적화석 연구(90%) 해남의 후기 백악기 우항리층에서 발굴된 잘 보존된 절지동물 흔적화석이 염호 환경에서 갑작스런 pH 하강으로 침전된 화산기원 실리카가 노출되었을 때 형성됨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국내 학술발표 1회, 국외 학술발표에서 1회 보고되었으며, SCI급 논문을 작성 중이다. 4) 전기 백악기 진주층 개형충의 분류학적 연구 및 생층서학적 연구(100%) 분류학적 해석을 통해 진화, 생층서 및 고생태학적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의 일부는 SCI 논문(Paleoworld)에 게재되었으며, 최종 결과를 작성 완료하여 투고 예정이다. 5) 함평분지 개형충의 군집분석을 통한 생층서 연구(100%) 개형충 군집 분석을 통하여 주기적인 수온 변화가 있었던 호소환경임을 밝혔으며,산출 종 분석을 통하여 함평분지의 연대를 전기 백악기의 Aptian-Albian으로 해석하였다. 이 결과는 KCI 논문(지질학회지)에 게재 되었다. 6) 중국 연길분지 개형충 연구(100%) 중국 연길분지의 개형충 14종을 분석하여 층서 대비, 진화 프로세스 및 고생태 연구가 완료되어 SCI 논문(Cretaceous Research)에 게재 승인되었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이 연구를 통해 백악기 한반도의 동물상(fauna)이 상당히 풍부함을 밝혔으며, 연구 자료들은 전기부터 후기 백악기에 이르기까지 고환경과 고기후 복원에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들을 통해서 다양한 주제가 연구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백악기 척추동물 및 미화석의 과학적인 해석을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번 연구는 한반도에서 산출되는 화석들이 진화적 기원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줄 수 있음을 확실하게 보여준다. 연구 결과들은 고생물학 분야의 인력양성 확충과 새로운 학문적 관점을 제공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