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저고도 장시간 체공용 고정익 무인기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7-09-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무인기술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연차목표 가. 기존 엔진 및 배터리 기술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친환경에지원인 연료전지 동력원을 이용한 장시간 체공 고정인 무인기 개발 나. 자동항법에 의한 경로비행 가능한 무인기 개발 다. 연료전지 동력원 출력 600W (Peak power), 50W/kg의 출력밀도 달성 라. 연료전지시스템 연속운전(지상) : 2 hr 이상 연속 운전 마. 연료전지 동력원을 적용한 무인기 1시간 체공 현장 실증 2. 개발내용 및 결과 가. 복합재로 제작된 무인기 기체 6~8 M (Wing span ~ 6 M, Length ~ 3 M) 개발 : 완료 나. 자동항법에 의한 경로비행 가능한 무인기 개발 : 완료 다. 수동 이륙 및 착륙 : 완료 라. 무인기용 700 W 연료전지 스택 개발 : 완료 마. 스택 및 주변장치를 통합한 무인기용 600 W 연료전지 동력원 개발 : 완료 바. 연료전지시스템 연속운전(지상) : 2 hr 이상 유지 : 완료 사. 연료전지 동력원을 적용한 무인기 1시간 체공 현장 실증 : 미흡(50%) 3. 기대효과(기술적 및 경제적 효과) 가. 연료전지 추진 동력원을 이용한 무인기 운용 기술 확보 나. 무인기 관련 교육원 설립을 통한 무인기 시장 확대 다. 무인기 기술경쟁력 강화 및 기술인력 고용창출 라. 무인기 기술우위의 국가로부터 기술독립 및 관련 산업 육성 마. 무인기용 대체 동력원 관련 기술의 국내 기술력 향상 4. 적용분야 가. 저고도 장시간 체공 및 자동항법이 요구되는 무인기 운용시장 1) 탐색/구조 활동 가) 지형 탐색, 조난자 수색/인명구조 활동, 연안지역 경로비행 탐색 등 2) 감시/모니터링 활동 가) 해안/산불/환경, 내수면 및 연안 불법 조업/채취, 재난/기후 모니터링, 출입 통제구역 불법 출입 감시, 농업 생태 환경 감시 등 나. 민수용 1) 활용처 가) 해양경찰청, 산림청, 소방방재청,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수자원공사, 국립환경공단, 한국전력공사 등 2) 활용분야 가) 해양 안전관리 및 수색구조, 해양오염감시 및 방제, 산불감시, 산림병해충 피해 예찰 및 방제, 산림재해지역(산불, 산사태) 모니터링, 항공 감시/촬영을 통한 인명구조, 해양오염 영향조사, 수자원 시설 관리 및 감시, 대기환경 측정/환경오염원 예방, 송배전 선로 탐사 및 안전 점검 등 다. 군수용 1) 활용처 가) 군단/사단/대대급 정찰용 2) 활용분야 가) 정보, 정찰, 감시용으로 전환 가능하며 장시간 탐지되지 않고 임무 수행 가능 (저소음, 자동항법 적용) (출처 : 연차보고서 초록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80003622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