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산지하천 하도안정화를 위한 옹벽호안 및 수제 공법과 토석류 제어공법의 실용화 기술개발 ○ 산지하천 만곡부 유속저감을 위한 옹벽호안 실용화 기술 개발 - 시범 적용한 돌출줄눈 옹벽 현황 및 하천 조사 - 줄눈옹벽 수리특성 조사 및 설치효과 분석 - 수리모형을 이용한 돌출줄눈 옹벽 최적화 기술 - 돌출줄눈 옹벽호안 설계지침(안) 작성 ○ 산지하천 만곡부 하안 세굴 방지를 위한 수제공법 실용화 기술 개발 - 수제공법 제시 및 기능성 검증 -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검토항목 및 문제점 보완 - 수리모형실험 및 현장 Test Bed 구축 - 신공법 현장 모니터링을 통한 적용성 검토 - 적용기술의 문제점 분석 및 보완 - 개발 수제공법 설계지침(안) 작성 ○ 토석류 제어공법 실용화 기술 개발 - 토석류 제어공법 기술이전 - 대상기술 구조검토 및 모형실험 - Test Bed 구축 및 성능분석 - 개발 제어공법 지침(안) 작성 연구개발성과 - 돌출줄눈 옹벽호안 제품화 및 설계지침(안) 작성 - 개발 수제공법 현장 Test Bed 구축 및 설계지침(안) 작성 - 토석류 제어공법의 대상기술의 기술이전 및 지침(안) 작성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산지하천 안정하도를 위한 실용화기술을 강원 하천정비 설계 및 시공사에게 기술을 이전하고 시제품을 만들어 시장진출이 가능하도록 적극 활용 - 하안에 직접 시공하지 않고 하상세굴을 경감하기 때문에, 하안의 수변 환경을 보전하고 산지하천의 수리적 안정성 확보와 환경 친화적 하천의 조성에도 널리 사용될 것으로 기대 - 산지하천 및 신설도로의 설계에 반영할 경우 재해의 사전방지 개념이 도입되어 장기적인 측면에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저감하고 유지관리비용을 저감 기대 - 시공되는 사방시설물과는 달리 토석류의 에너지를 감소시키는 목적 구조물로 향후 시범적 적용 사례 효과가 입증되면, 시장 진출이 확대될 것으로 사료되며, 산지가 많은 동남아지역의 피해지역에서도 적용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