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서론 지난 수세기 동안 경제발전을 해오면서 깨끗한 친환경의 지속 유지가 세계적 관심사였다. 특히 화학 분야에서 환경을 고려한 지속적인 성장이 의견 일치를 보고 있다.[1] 친환경 화학반응으로 반응을 왜소화, 나노소재를 촉매로 이용하는 방법, 및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고체반응 등등 폐기물을 줄이고 용매를 사용하지 않는 방법들이 있으나 이들은 실험실적 스케일이다. 현재 가장 시급한 문제는 폐기물 생산으로, 화학 및 제약공업 분야에서는 많이 사용하는 용매의 처리가 문제가 되고 있다.[2] 용매는 폐기 용액을 오염시키며, 휘발성이며, 독성이 있어 대기환경에도 큰 오염물질이 되고 있다. 그러나 용해성, 안정성 및 반응속도 때문에 용매는 학계 실험실이나 기업체의 생산 공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용매는 화합물의 정제, 분리, 혹은 결정화 과정에 널리 쓰인다.[3] 용매에 의한 환경영향, 폐기물처리에 의한 경제성 및 환경오염 개선을 위하여 용매의 선택에 있어 진지한 결정을 내려야 한다. 환경친화적 용매들은 독성이 낮고, 사용에 안전하고(비인화, 비폭발성), 반응물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문헌들에 나타나는 주된 이러한 용매들은 물,[4] 초임계 이산화탄소(CO2),[5] 이온성 액체(ionic liquids, ILs)[6] 및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methyltetrahydrofuran, MeTHF)[7]이다. 이 용매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다음 표 1에 열거하였다.[8] 표 1. 화학 및 제약 업계에서 사용하는 환경친화적 용매들의 비교[8]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