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적절한 소득을 얻을 수 있으면서 농수산물을 같은 면적에 복합적이며 지속적으로 무항생제 무농약으로 생산할 수 있는 친환경 유기농수산업으로 논, 유휴 농지를 이용한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 기술 개발 제 1절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기술 개발 (1)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 시스템 개발 본 연구에서 개발된 내수면 생태양식 시스템은 논이나 유휴 경작지 등에서 생태적으로 종간 경쟁이 없는 틸라피아, 메기, 향어 등의 내수면 양식어종 및 참게와 징거미새우의 활동과 사료 공급, 포획 등과 같은 전반적인 사육관리가 용이한 사육공간을 제공하고 참게의 도피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수단으로 내수면 어류 및 갑각류를 복합적으로 생육할 수 있도록 하면서 친환경적인 벼농사를 할 수 있도록 한 시스템을 개발함. (2)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의 생산성 향상 연구 내수면 생태양식 시스템에서의 어류 생존율은 메기, 향어, 틸라피아 각각 95.4%, 94.0%,95.0%로 나타나고, 내수면 양식어종이 벼 수확량과 쌀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행구 대비 벼 수확량이 약 13.5∼15.7%가 증가되었고, 쌀 품질은 관행구와 비슷한 품질로 나타남. 제 2절 생태양식기술의 현장적용 징거미 새우 현장적용 실험은 같은 조건하의 수생식물 참게, 틸라피아와 비교하여 증체량은 틸라피아>큰징거미 새우>참게 순이었고, 성장률은 큰징거미 새우>틸라피아>참게 순이었음. 생존율은 참게, 틸라피아보다 큰징거미 새우가 약 절반 수준이며, 사료전환효율(FCR)은 큰징거미 새우가 다른 어종보다 낮아 사료 절감효과가 더 높음. 내수면 생태양식장에서의 벼 수확량은 관행구보다 0.7%∼21.3% 증가한 결과 제 3절 내수면 생태양식 경제성 분석 내수면 생물종을 이용한 친환경 논 생태 시스템은 대조군인 일반농지보다 그 단위면적당 수익이 2.92-4.69배 이상 향상된 소득. 제 4절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장 환경조사 내수면양식생물을 입식하여 양식함과 동시에 벼 경작을 한 지역이 주변의 일반경작을 하는 농업지역보다 수서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및 그 개체수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고 생태양식장과 큰징거미새우 양식장 내 토양시료 분석결과 토양오염 우려기준 이하. 제 5절 내수면 생태양식 매뉴얼 내수면 논생태양식시스템과 현장적용 실험을 중심으로 기술서 구축 제 6절 친환경 생태양식 6차 산업화 가이드라인 및 모델 제시 개발 6차 산업화의 이론적 모델 개발을 토대로 친환경 생산 및 가공, 제품개발, 온라인 오프라인 마케팅 개척, 수익 창출, 체험프로그램 및 교육실시 등 실용적 모델 개발. 제 7절 친환경내수면 양식 기술이전 및 사업화 친환경 내수면 생태양식에 대한 기술이전을 실시하고 6차사업의 가이드라인 제시에 따른 사업화 실행하여 매출발생 시킴. (출처 : 보고서 요약서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