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SARS-CoV-2 진단 기술 개발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1-07-1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상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ronaVirus Disease-19, COVID-19)의 발생은 전 세계인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대유행(pandemic) 상태이다.[1] 그러므로 신속하게 사람들로부터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2(SARS-CoV-2) 확진 여부를 진단하는 것은 질병의 확산을 모니터링하고 치료 결정을 안내하며 사회적 거리두기 등 방역 기준과 질병 관리 프로세스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다.<br /> 2020년 하반기부터 새롭게 출현한 영국발 변이의 출현을 시작으로 남아공발, 브라질발 및 인도발까지 신종변이(new variants) 바이러스가 발생하였고, 최근에는 델타변이의 출현 및 확산으로 사람 간 전염력이 기존 SARS-CoV-2보다 약 2배 이상 더 높은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에 인류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심각한 상태라 볼 수 있다. 다행스럽게도 AstraZeneca, Pfizer 등을 비롯한 글로벌 대형 제약사들이 백신(Vaccine)을 개발하여 COVID-19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2] 하지만 이러한 적극적인 백신 접종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델타변이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COVID-19 바이러스가 꾸준히 확산하고 있는 상태이다.<br /> 기존의 real-time PCR에 기반한 검출 분석은 SARS-CoV-2 감염 진단을 위한 가장 효과적이고 민감한 방법이며 전 세계 실험실에서 사용되고 있다.[3] 그러나 일부 국가에서는 필요한 수준에서 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분자생물학 실험실 자원과 PCR 키트에 대한 액세스 권한이 부족한 현실이다. 또한 이러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전문 인력도 부족하고 시간이 오래 소요된다. 따라서 real time PCR 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하면서 신속하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기술을 개발하려는 노력들이 진행 중에 있다.<br /> COVID-19 바이러스를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질량분석기(mass spectrometry, MS)를 이용한 기술개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단백질체학(proteomics), 당질체학(glycomics) 및 지질체학(lipidomics)을 이용하고 있다. 이런 MS 기반한 오믹스(omics) 연구는 COVID-19 바이러스가 인체에 감염되어 세포 내에서 복제하고 병리 증상을 보이기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바이러스와 인체 세포 간의 변화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4] 또한 COVID-19 상태의 위험성을 낮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표적을 발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br /> <br /> <strong>**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strong>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81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