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아시아지역 돌발 바이러스병/해충 적기 방제를 위한 발생 및 역학정보 교류체계 구축 ○ 아시아지역 국가별 작물별 돌발 바이러스병/해충 발생양상 조사 및 DB화 ○ 아시아지역 돌발 바이러스병/해충 분류·동정 지원 및 진단체계 보급 ○ 담배가루이와 목화진딧물의 국가별, 지역별, 유전형 정보 획득 ○ 온도발육 실험을 통한 담배가루이, 목화진딧물의 유전적 계통 간 fitness 비교 ○ 지역 별 담배가루이, 목화진딧물의 방제에 주요 사용되고 있는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유전자 확인 ○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을 활용한 벼 및 채소작물 병해충 예찰방법 구축 □ 연구개발성과 ○ 아시아지역 국가별 작물별 주요 바이러스 발생 양상 및 분포를 조사하여 DB화하였음 ○ 아시아지역 작물별 주요 바이러스병 소책자 발간 및 보급(영어 발간) ○ 바이오큐브를 활용한 아시아 주요 작물 바이러스 진단법 개발 ○ 아시아지역 돌발 바이러스병 분류·동정 지원 및 진단체계 보급 ○ AFACI program workshop 참석을 통한 아시아 국가별, 작물별 식물 바이러스 발생 현황 결과 보고 및 고찰 ○ 태국 방콕 지역의 고추 및 토마토 감염 바이러스 시료 확보 및 바이러스 동정 ○ 태국 지역 고추에 감염되어 있는 식물 바이러스 (Chilli veinal mottle virus,pepper cryptic virus 2, pepper vein yellows virus)의 계통학적 분석 ○ 국내 및 국외(태국) 담배가루이, 목화진딧물의 샘플 확보 ○ 담배가루이, 목화진딧물의 gDNA를 이용하여 유전형 정보 획득 ○ 담배가루이와 목화진딧물에 주요 사용하는 살충제에 대한 유전마커 탐색 및 살충제 저항성 확인 ○ 담배가루이, 목화진딧물의 유전적 계통 간 fitness 비교 ○ 벼 주요 비래해충 실시간 모니터링시스템을 활용한 예찰모델개발 ○ 시설하우스 실시간 해충예찰시스템을 활용한 예찰모델개발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 (기대효과) ○ 아시아 지역의 주요 작물에 발생하는 식물 바이러스의 유전자원을 확보하고 계통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바이러스의 유래 및 이동경로, 변이에 관한 기초 자료 수립 ○ 계통 분석을 통하여 확보한 정보를 바탕으로 추후 외래 바이러스의 유입을 검역하는데 있어서 진단 키트 또는 마커 개발에 응용이 가능 ○ 아시아지역의 바이러스 연구의 네트워크를 통한 합리적인 연구교류 기반구축과 연구 효율성 증대가 기대됨 ○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 기초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농업 해충분야의 집단유전학적 연구 방법과 관련 기술 수준 향상이 기대됨 ○ 본 연구를 통하여 살충제를 사용하는 채소재배 지역에서 발생하는 해충의 유전자 연구 방법과 방제 효율성 향상이 기대됨 ○ 아시아 지역의 해충 연구를 위한 네트워크 형성을 통하여 국제 공동 연구에 대한 협력 기반을 구축하여 국가 간 해충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을 검토하고 연구·협력할 수 있는 토대 마련 ○ 경량스마트 공중포집기 및 실시간 감지시스템을 이용 전국적 규모의 해충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 구축 기반 달성 ○ 병해충 예찰포 유아등의 실시간 감지시스템화 추진 (출처 : 국문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