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캄브리아기의 생물초 및 생물초 진화 양상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특히 중국 일대에 발달하는 생물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여기에는 주로 미생물초 및 이와 함께 발달하는 해면동물이 나타나며, 이는 이 시기에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생물초 구성원으로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후생동물 생물초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현생누대의 초기에 해당하는 캄브리아기 및 오르도비스기에 발달하는 생물초 및 그 진화 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모든 세부 연구목표를 달성하였으며, 이외에도 추가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여 총 10편의 SCI급 논문을 게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과제를 수행함으로서 파악하고자한 전기 고생대의 환경 변화 및 고생태학적 의의에 대해 논하는 과정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총 19번 국내외 학회에서 발표하며 해당 내용을 여러 동료 지질학자들과 토의하고 발전시키는 등 지질학 전반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는 기존에 제시하였던 연구 목표, 즉 총 6편의 논문을 게재하겠다는 것에 비하여 목표를 크게 초과 달성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질학계에서 널리 인정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를 인정받아 연구책임자는 한국 지질학계의 양대 학회인 대한지질학회에서 젊은지질학자상 및 우수심사위원상을,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에서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하였다. 이외에도 지도한 석사과정 학생이 대한지질학회에서 우수포스터상을 수상하였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이는 생물의 진화사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 중 하나를 차지하는 캄브리아기 대폭발 및 오르도비스기 대방산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연구 결과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시기의 생물초 및 생물 진화 양상에 대한 이해를 증진할 수 있었으며, 환경 변화 또한 이해할 수 있었다.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