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원광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한의학에서 대사기능장애를 일으켜 증(證)을 유발하는 물질로는 담(痰), 음(飮), 수기(水氣), 어혈(瘀血), 식적(食積), 충적(蟲積)으로 분류하여 대사증후군을 접근하는 방식으로는 사용함. 또한 비만, 당뇨, 고지혈증과 관련된 질환 및 증후적 접근 방식으로 소갈(消渴), 적취(積聚), 허로(虛勞), 비만(肥滿)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음. • 대사기능장애 개선 및 예방에 한의학과 양의학을 비롯한 대체의학의 결합 시도는 미래 지향적으로 그 효용가치가 매우 높다고 사료됨. • 본 연구를 통해 한방 소재를 이용하여 대사기능장애 개선 효능을 검증함으로써 새로운 질병치료 원천 기술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한의이론의 과학화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효능 물질 확보 ① 한방 소재의 탐색 및 선정 - 전통 한방소재의 탐색 (단미, 복방, 혼합추출물) - 선정된 한방소재의 추출 및 확보 ② 한방 소재를 이용한 혈관 이완 작용 기전 연구 - 심혈관계 개선효능이 있는 소재를 탐색 - 예비실험을 통하여 혈관 이완에 효과가 있는 소재를 발굴. - 선정된 소재를 통해 작용 기전 연구 • (2차년도) 대사 기능 장애 병태 모델에서 전통 한방 소재 효능 물질 탐색 ① 한방 소재의 확보 및 유지 - 1차년도에 효능이 검증된 한방소재의 추출을 통하여 동물실험 시료 확보 ② 고과당/고지방 식이 백서를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동물모델에서의 개선 효능 검증 - 현대인의 경우 지속적인 고열량 식사를 통한 대사증후군 유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와 비슷한 모델을 접목시키고자 본 실험을 진행. - 고혈압, 고지혈증, 혈관염증 및 동맥경화 억제 효과 및 약리 작용기전 규명. • (3차년도) 후보 물질 최종 확보 및 유전자 변이 병태 모델을 통한 작용기전 탐색 ① 한방 소재의 확보 및 유지 - 1, 2차년도에 효능이 검증된 한방소재의 추출을 통하여 동물실험에 사용할 시료 확보 ② 유전자 변이 동물모델을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개선 효능 검증 - 대사기능장애 있어서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은 중요한 원인이 되는 것으로 본태성고혈압 모델을 이용하여 효능을 검증함.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개선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한의학의 기초과학 기술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학문적 기대효과 - 대사기능장애 개선 효과 핵심 조절 약물 발굴. - 한의학의 과학화, 체계화를 통하여 한의학 발전에 효과 • 기술적 측면 - 대사기능장애에 있어 병태생리를 규명함으로써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한의학 질병 치료기술 개발 기반 확보 및 연구 인프라 구축 • 경제․산업적 측면 -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개선 효과의 지식 재산화 - 전통의학 연구를 통한 수출기반 조성 - 근거중심의학으로 한의학을 한 단계 발전시켜 의료시장 개발에 대응한 핵심 기반 기술 구축 - 전통 한방 소재를 이용한 대사기능장애 모델에서의 개선 효과 기대 본 과제를 통하여 대사성 질환 개선 효능에 있어서 그 기전을 살펴보고 얻을 수 있었던 결과물들을 통하여 한의학의 객관화를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고 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150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