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개요 양식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양어를 위한 배양기술 이외에도 예방 및 치료차원에서의 어류 면역반응에 대한 지식이 체계적으로 축적되어야 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류 세포주 감염모델을 이용하여 어류의 병원균 감염신호전달기전을 펩티도글리칸 인식단백질(PGRP)과 다른 패턴인식단백질의 상호작용(cross-regulation)을 중심으로 규명하고, 이를 통하여 어류 감염성 질병의 예방‧진단‧치료 타겟 선별과 치료 선도물질 도출에 필요한 핵심기반 지식을 제공하고자 하였음.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포유류 선천면역체계는 다양한 패턴인식단백질들 간 복합적 상호작용을 통해 면역반응을 조절하여 감염에 대처함. 선행연구를 통해 본 연구진은 어류에서 병원균 감염시 패턴인식단백질 중 PGRP는 항염증활성을 나타내는 반면 TLR2와 NOD는 염증활성을 나타내어 생체방어에 기여함을 규명하였고, PGRP의 생성에 TLR2와 NOD가 관여할 가능성을 확인하였음. 이러한 결과는 어류에서 PGRP와 다른 패턴인식단백질들 간 상호작용의 가능성을 시사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어류의 병원균 감염신호 전달기전을 PGRP와 다른 패턴인식단백질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규명하고자 하였음. PGRP 유전자의 promoter 분석, 유전자결실 세포주 및 과발현세포주를 이용한 어류 PGRP의 발현조절기전 연구를 통해 어류 PGRP는 NOD1/2-RIP2-NF-κB 경로에 의해 발현됨을 규명하였음. 또한 어류 PGRP의 항염증활성기전 분석 및 NOD와의 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어류 PGRP가 deubiquitinase인 A20의 발현을 유도하여 NOD 신호전달경로의 RIP2의 ubiquitination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음. 이로 인해 하위 신호전달단백질인 TAK1과 IκBα의 인산화와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NOD의 염증활성을 억제조절(negative regulation) 함을 규명하였음.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어류의 병원균 감염신호전달기전에 대한 정보는 국내의 어류 선천면역체계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뿐만아니라 양식어류의 감염성 질병에 대한 예방‧진단‧치료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감염성 질병의 치료 타겟을 선별하고 치료 선도물질을 도출함으로써 어류폐사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또한 어류 선천면역체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인간을 비롯한 다른 포유동물에 영향을 미치는 감염성 질환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획득할 수 있음. (출처 :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