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지능형 개체굴 선별시스템 기술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바른정보기술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Ⅰ. 사업 개요 Ⅰ-1 개발제품의 정의 개념 - 채취된 개체굴이 컨베이어를 통해 세척과정을 거쳐 본체 속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되며 측정 장치를 통해 부피 및 무게 데이터가 입력, 산출된다. -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항목별로 굴은 자동으로 선별되고 카운팅 된다. - 선별된 굴들은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출하되기도 하고 다시 양식장으로 보내어 진다. - 스캔된 이미지, 중량 및 측정된 데이터들은 DB에 저장, 분석 및 빅 데이터화되어 양식방법의 개선 등의 다양한 자료로 활용된다. 용도 - 개체굴 세척, 항목별 선별 및 분류, 데이터 분석, 어장환경 개선 및 최적화 기술적 요소 - 하드웨어 : 기계설계(3D설계 포함), 자동 제어 컨트롤러(터치식 UI), 영상처리 장치 구성, 컨베이어 컨트롤러, 조작 스위치 및 버튼 구성, 장치 간 통신포트,전기분전반 등 - 소프트웨어 : 장치운용 프로그램,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영상 전처리 함수응용, DB 설계 및 구축, 기계학습 알고리즘, 장치운용 SW, UI Design 등 적용분야 - 수산업 생산 가공 현장 : 어패류 분류 및 선별 - 연구기관 및 대학 : 어장환경 분석 및 예측,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연구 - 제조 산업 : 생산 공정상 불량품 선별(크기, 부피, 중량 및 색상 등 오류 인식) 기존 제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단순 측정을 통한 기능형 장치에서 지능형 장치로 진화가 필요함 - 메타 데이터 활용 부족: 채취일, 성장기간, 어장정보 등을 선별 시에 함께 입력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도출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안 필요함 -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자 관점의 접근 방식에서 사용자 관점의 접근방식으로 전환해야 함(직관적인 UI 개발, 사용자 눈높이에 맞춘 쉬운 조작 등) - 유지보수 관리 : 염분해수에 강한 소재 선택, 신속한 A/S처리(원격관리시스템) - 굴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족: 어장의 먹이분포, 밀식 및 기타 환경요인으로 굴의 형태 및 무게가 판이하게 달라지므로 생태환경의 분석까지 고려한 제품 기획이 필요함 (출처 : 본문 Ⅰ. 사업 개요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7191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