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Ⅰ. 사업 개요 Ⅰ-1 개발제품의 정의 개념 - 채취된 개체굴이 컨베이어를 통해 세척과정을 거쳐 본체 속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송되며 측정 장치를 통해 부피 및 무게 데이터가 입력, 산출된다. -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항목별로 굴은 자동으로 선별되고 카운팅 된다. - 선별된 굴들은 설정된 사이즈에 따라 출하되기도 하고 다시 양식장으로 보내어 진다. - 스캔된 이미지, 중량 및 측정된 데이터들은 DB에 저장, 분석 및 빅 데이터화되어 양식방법의 개선 등의 다양한 자료로 활용된다. 용도 - 개체굴 세척, 항목별 선별 및 분류, 데이터 분석, 어장환경 개선 및 최적화 기술적 요소 - 하드웨어 : 기계설계(3D설계 포함), 자동 제어 컨트롤러(터치식 UI), 영상처리 장치 구성, 컨베이어 컨트롤러, 조작 스위치 및 버튼 구성, 장치 간 통신포트,전기분전반 등 - 소프트웨어 : 장치운용 프로그램,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영상 전처리 함수응용, DB 설계 및 구축, 기계학습 알고리즘, 장치운용 SW, UI Design 등 적용분야 - 수산업 생산 가공 현장 : 어패류 분류 및 선별 - 연구기관 및 대학 : 어장환경 분석 및 예측, 기후변화에 따른 해양생태계 연구 - 제조 산업 : 생산 공정상 불량품 선별(크기, 부피, 중량 및 색상 등 오류 인식) 기존 제품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 단순 측정을 통한 기능형 장치에서 지능형 장치로 진화가 필요함 - 메타 데이터 활용 부족: 채취일, 성장기간, 어장정보 등을 선별 시에 함께 입력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도출하고 그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안 필요함 - 현장의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개발자 관점의 접근 방식에서 사용자 관점의 접근방식으로 전환해야 함(직관적인 UI 개발, 사용자 눈높이에 맞춘 쉬운 조작 등) - 유지보수 관리 : 염분해수에 강한 소재 선택, 신속한 A/S처리(원격관리시스템) - 굴의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부족: 어장의 먹이분포, 밀식 및 기타 환경요인으로 굴의 형태 및 무게가 판이하게 달라지므로 생태환경의 분석까지 고려한 제품 기획이 필요함 (출처 : 본문 Ⅰ. 사업 개요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