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1. IMTA 기술 개발 가. IMTA 시범어장 선정 및 생물 입식 1) 남해군 창선면 가인리 지선(2014∼2015년) ∙조피볼락 100,000마리, 해삼 20,000마리, 참굴 수하연 100개, 미역 연승줄 100 m 입식 2) 통영시 산양읍 저림리 지선(2016∼2018년) ∙참돔 50,000마리, 해삼 20,000마리, 참굴 수하연 200연, 해조류 연승줄 1,200 m 입식 나. IMTA 품종 양성효과 평가 1) 대조구(품종별 단일양식) 대비 IMTA 생물 성장 ∙어류(조피볼락 및 참돔) 성장은 IMTA와 대조구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음 ∙IMTA 참굴의 각고와 육질부중량이 10∼15% 빠르게 성장함 ∙IMTA 해삼이 30∼40% 성장이 빠르게 나타남 2) 양식생물 질병감염 조사 ∙어류의 세균성 질병 감염률은 대조구 대비 감소함(2018년 37.5% 감소) 3) IMTA 생물의 유·무기물 제거능에 근거한 적정 양식규모 산정 ∙0.5 ha 참돔 가두리양식장에서 매년 매출되는 질소량 7.5톤 ∙이의 제거를 위한 해조류 및 참굴 양식규모 각각 2 ha 필요 2. 먹이연쇄 경로 규명 및 환경수용력 산정 가. IMTA 및 대조구 환경 특성 조사 1) 퇴적물 환경 및 저서생물상 분포 특징 ∙어장환경평가등급이 IMTA 2등급, 대조구 3등급으로 환경개선 효과를 나타냄 ∙IMTA는 풍부한 종수와 높은 밀도 및 다양도가 특징이었으며, 총유기탄소량이 높음 2) IMTA 양식장 퇴적물의 유기물 분해 특성 조사 ∙혐기성유기물 분해율 중 황산염 환원율이 차지하는 비율은 대조구 82%, IMTA 34%로 나타남 3. IMTA 시스템 개발 가. IMTA 관리시스템 운영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 ∙어군탐지 센서를 이용한 지능형 자동먹이공급장치 컨트롤러 개발 ∙수중영상 기반의 어체 원격 측정장치 개발 및 앱 연동 4. IMTA 기술 개발에 대한 경제성 분석 ∙환경적 편익: 국제 질소 거래가격(US$ 22/kg)으로 산정할 경우, 총 1억3,640만원 ∙양식이익: 동일규모 참돔 단일양식보다 IMTA가 5배 높게 나타남 ∙매출액순이익률(경제성): 단일양식 10.8%, IMTA 37.8% (출처 : 요약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