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2019년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의 개선 및 활용기반 구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III. 주요 연구결과 1. 개정수요관련 의견수렴 ■ 2018년 발굴된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체계 개정 수요를 공개하고 연구 현장의견을 적극적으로 청취하고자 '대국민 의견수렴'을 추진 · 2019년 2월 1일(금)부터 3월 15일(금)까지 표준분류체계 홈페이지를 통해 의견수렴 시행 ■ 총 20건*의 의견이 제출되었으며 개정수요의 추가 수정, 하위 소분류 구성 변경, 기존 명칭 유지 등으로 구분 가능 * '18년 개정수요의 대중분류 기준으로는 총 40건에 해당 '18년 개정수요에 대한 검토 의견은 적합성평가 실시 시 평가 참고자료로 제공하여 세부 내용 검토 2.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 ■ 총 64개 개정수요에 대해 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여 과학기술 분야 39개 개정타당성 평가대상 선정 · 평가대상 총 64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12개, 생명 분과 14개, 인공물1분과 7개, 인공물2 분과 10개, 인공물3 분과 12개,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분과 9개에 해당 ※ 유사한 대분류를 대상으로 총 6개 분과(자연, 생명, 인공물1~3, 과학기술과 인문사회)를 구성하여 평가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39개는 분과별로 자연 분과 7개, 생명 분과 11개, 인공물1 분과 5개, 인공물2 분과 8개, 인공물3 분과 8개에 해당 -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에 선정된 39개는 개정유형 기준으로 신설 5개, 명칭변경 18개, 명칭변경(신설) 9개, 분할 2개, 통합 4개, 통합(신설) 1개에 해당 ■ '인문사회과학 분야' 개정수요는 총괄위원회 중심의 적합성 평가를 통해 개정타당성 평가대상으로 선정 · 인문사회과학분야는 과학기술분야에 비해 연구비 대비 세분화 정도가 높아 분류 간 불균형 해소 및 실효성 향상 측면에서 개정을 추진 - 표준분류체계 3기개 중분류 중 인문사회과학분야는 163개(44%)이나 연구비는 10.2% 수준 - 인문사회과학분야는 분류가 세분화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타' 분류로 집중 기존 3개 연구분야, 17개 대분류, 163개 중분류를 2개 연구분야, 6개 대분류, 70개 중분류로 개편 - 한국연구재단의 학술연구분야 분류(대분류*/중분류)를 채택하되 표준분류체계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추가·보완 * 인문학, 사회과학, 예술체육학, 복합학 ** 표준분류체계에만 존재하는 분야(콘텐츠, 문화재, 생명/의료윤리, 안전사회/재난관리) 추가 학술연구분야와 표준분류에서 상이하게 분류하는 분야(생활과학, 복합학 하위분류명 등) 조정 등 3. 국가 융합연구 동향 분석 가. 총괄 분석 ■ 전체 현황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융합연구(다학제 과제)는 2014년 대비 2018년 과제수는 7,895개에서 10,293개, 투자액은 2조 2,328억원에서 2조 3,247억원으로 증가 ■ 연구개발단계별 현황 · 기초연구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히 수행되며 관련 기초연구 과제수는 2014년 4,930개에서 2018년 6,533개, 투자액은 7,406억원에서 9,335억원으로 증가 ■ 연구수행주체별 현황 · 대학이 국가연구개발사업 융합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대학은 과제수 기준으로 7,366개, 투자액 기준으로 9,3 9 4억원의 융합연구를 수행 ■ 부처별 현황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융합연구를 가장 많이 수행하며 2018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4,472개, 투자액은 1조 1,838억원 ■ 기술분야별 현황 · 6T 중 융합연구는 BT 분야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8년 BT 분야는 과제수가 4,379개(42.5%), 투자액 6,533억원(28.1% )으로 가장 높은 수준 · 과학기술표준분류(연구분야) 중 융합연구는 전기/전자(2,970억원(12.8% )), 보건의료(2,662억원(11.5%)) 대분류에서 활발 · 과학기술표준분류(적용분야) 중 융합연구는 공공분야에서 건강 분야, 산업분야에서 제조업(전자부품, 컴퓨터, 영상, 음향 및 통신장비)이 가장 활발 ■ 협력유형별 현황 · 융합연구는 산·학, 학·연 협력유형에서 가장 활발하며 2018년 산·학 협력유형의 융합연구 과제수는 402개(27.3%), 투자액은 1,718억원(19.1% )를 차지 나. 6T, 협력유형 기준 연구분야간 네트워크 분석 ■ 6T 기준으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융합연구는 BT, IT 분야가 상대적으로 활발하며 정보통신, 전기/전자, 보건의료, 기계 분야 중심으로 수행 · BT는 보건의료(중심성 지표 0.875), 생명과학(0.875), 뇌괴학(0.656), 농림수산식품(0.656) 분야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하며 인문사회과학 분야 중 인지/감성(0.406), 사회복지(0.312), 경제/경영(0.312) 분야 융합도 진행 · IT는 정보통신(0.906), 전기/전자(0.781), 보건의료(0.781), 기계(0.750) 분야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하며 인문사회과학 분야 중 문화/예술/체육(0.593), 경제/경영(0.562), 인지감성(0.531) 분야 융합도 진행 · NT는 BT, IT에 비해서 분야간 융합이 전반적으로 낮은 가운데 재료(0.562), 화공(0.531), 기계(0.531), 전기/전자(0.500), 화학{0.500) 분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진행되며, 인문사회과학 분야와의 융합도 상대적으로 저조 · ET는 환경(0.750), 에너지/자원(0.656), 건설/교통{0.562), 기계(0.531) 분야를 중심으로 융합연구가 활발하며, 인문사회과학 분야와도 융합끼 진행되나 심리, 문학, 언어, 철학/종교, 역사/고고학 분야와는 융합이 없음 · ST는 기계(0.375), 지구과학(0.281), 에너지/자원(0.250), 전기/전자(0.25)를 중심으로 융합이 진행되며 인문사회과학 분야와의 융합은 저조 · CT는 문화예술체육(0.687), 인지/감성(0.468), 정보통신(0.468) 과학인문 (0.312) 등을 중심으로 융합연구 진행 ■ 협력유형 기준으로 융합연구는 산업계, 학계를 중심으로 정보통신 분야 등에서 활발히 진행 · 산업계와 학계에서 정보통신, 전기/전자, 보건의료 분야 중심의 융합연구가 활발 · 문화/예술/체육, 생활, 뇌과학, 인지감성,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분야 융합연구 존재하나 과학기술과 인문사회 융합은 제한적 ■ 융합연구 현황을 '산-학', '산-연', '학-연' 협력 중심으로 살펴보면 모든 협력유형에서 정보통신분야 중심의 융합연구가 활발 · 특히, '산-학 협력의 정보통신분야 중심성 지표(0.813)가 '산-연'(0.438), '학-연'(0.625) 협력유형의 중심성 지표 보다 높아 정보통신분야 중심의 융합연구가 매우 활발 · '학-연' 협력은 정보통신 외에 생명과학, 보건의료, 재료분야 중심의 융합연구를 타 협력유형보다 활발히 수행 4. 기술키워드 현황 분석 가. 추진 배경 및 분석 대상 ■ 소분류의 키워드체계로의 전환('23년)에 대비하여 대분류별 적정 기술키워드 설정 규모, 키워드 후보군 사전 검토를 위해 키워드 현황 분석 ■ 2016년부터 2018년까지의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자료의 과제 단위 정보를 대상으로 분석 · 과학기술분야 16개 대분류 기준으로 주요 기술키워드 현황 분석 · 수학대분류의 중분류(기타수학 포함 11개) 대상으로 중분류 수준의 주요 기술키워드 현황 분석 나. 대분류 기준 분석 ■ 대분류 중 보건의료(4,238개), 농림수산식품(4,117개), 기계(3,518개), 생명과학(3,446개) 순으로 기술키워드가 많음 · 반면, 대분류 중 수학(1,300개), 원자력(1,512개), 지구과학(1,597개), 물리학(1,815개), 건설/교통(2,329개) 순으로 기술키워드가 적음 ■ 대분류별 특성을 나타내는 차별화된 기술키워드가 있으나 일부 기술키워드는 대분류간 중복되어 나타나고 빈도수도 높음 · 대분류간 중복되어 나타나고 빈도수가 높은 용어는 '시스템', '분석', '구축', '구조', '최적화', '개선', '평가' 등 · 대분류간 기술키워드는 대분류의 독자적인 학문 특성을 나타내는 용어를 중심으로 차별적 특성 보임 * 수학은 알고리즘, 대수, 확률, 비선형, 물리는 양자. 전기. 광학, 소자 화학은 분자. 촉매, 활성, 화합물, 생명과학은 단백잘 임상, 대사 정보통신은 시스템, 알고리즘, 최적화 연동, 서버, 소프트웨어, 센서 등의 기술키워드가 고빈도 다. 중분류 기준 분석(수학) ■ 수학의 중분류 중 응용수학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348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