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전통무형문화 전형 전승을 위한 실감 센싱/렌더링 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연구목표) 사라져 가는 전통무형문화의 보존 및 전형을 위한 VR/AR 기반 전통무형문화 작업 데이터 획득, 재연, 전형 지원 기술 개발 - 국가무형문화재 134종(공예 33종) 중 단청장(제48호), 불화장(제118호)에 대한 전형기술 개발 - 과제결과물로 개발되는 기술은 불화, 단청 이외의 무형문화 전형전승에 활용 가능 ○ (연구내용) 전통무형문화 전형 시스템 - (전형 획득) 멀티 모달 센싱 플랫폼 기반 전통무형문화 전형 획득 시스템 ․ 동작 센싱을 위한 직, 간접 센싱 플랫폼 기술 개발 ․ 도구, 캔버스 인식/추적 및 충돌 감지 기술 개발 ․ 도구, 캔버스, 물감 모델링 기술 개발 - (전형 재연) 로봇 기반 전통무형문화 전형 재연 시스템 ․ 로봇 제어 모델링 기술 개발 ․ 전형 기록 재연 가시화 기술 개발 ․ 로봇 재연을 위한 로봇 제어 최적화 기술 개발 - (전형 지원) 전통무형문화 전형 지원 시스템 ․ 자동 패턴 평가 기반 전형 지원 기술 개발 ․ VR/AR 기반 실감 렌더링 기술 개발 - (전형 응용서비스) 전통무형문화 전형 기술 기반 응용 서비스 ․ 전통무형문화 전형 지원 및 공정 지원 시범 서비스 3건 및 작품 제작 연구 개발 성과 ○ 연구 성과 - SCI 학술지 논문 2건 게재 (1건 심사중) - 비SCI 학술지 논문 1건 게재 - 국제 학회 논문 5건 발표 - 국내 학회 논문 1건 발표 - 국내 특허 14건 출원 - 국내 특허 1건 등록 (1건 진행중) - 국외 특허 2건 출원 (2건 진행중) - 프로그램 등록 8건 ○ 사업화 성과 - 기술 이전 2건 (기술료 금액 22백만원, 1건 16.5백만원 진행중) - 사업화 건수 4건 (사업화 매출액 367백만원) - 고용 창출 19명 (평균 고용유지기간 8개월 이상) ○ 연구 결과물 - 전통무형문화 전형 획득 시스템 - 전통무형문화 전형 재연 시스템 - 전통무형문화 전형 지원 시스템 ․ 전통 회화 전형 지원 학습 콘텐츠 ․ 전통 회화 전형 획득 아카이빙 ․ 작업 공정 현장 지원 초배치 시스템 ․ 작업 공정 현장 지원 자동 천초 시스템 ․ 햅틱 렌더링 기반 전통 회화 패턴 훈련 시스템 연구 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기대 효과) ○ 활용 계획 활용 서비스 및 분야 : 전통무형문화 전형 획득 및 재연 서비스 시나리오 및 사업화 대상 : (전통무형문화 기술의 데이터화 및 실감 재연) - 촉각, 시각, 청각을 이용한 멀티 모달 센서를 통한 장인의 기술 디지털 기록 - 전통무형문화 기술(불화장, 단청장 등)의 디지털 기록을 VR, AR, 홀로그램, 로봇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재연 및 다양한 응용 분야와 공유 활용 서비스 및 분야 : 전통무형문화 전형 지원 시스템 서비스 시나리오 및 사업화 대상 : (획득 데이터 기반 전형 실습 지원) - 무형문화 전통 기술 기록 데이터를 전형 실습에 적용하여 실습자의 감각 운동을 지원하는 전형 지원 시스템 - 무형 전통 기술을 전형 지원을 위한 작업 과정 가이드 및 작업 결과에 대한 평가 기능 지원 활용 서비스 및 분야 : 상호작용 기반 전시/교육/체험 서비스 시나리오 및 사업화 대상 :(상호작용 기반 전통무형문화 기술 응용 콘텐츠) - 전통무형 기술 기록 데이터를 활용한 전시 및 설치 작품 활용 - 전형 지원 기반 기술인 VR/AR 기반 회화 전형 지원 기술을 활용하여 증강 미술 교육, 전통무형문화 기술 체험 등에 활용 활용 서비스 및 분야 : 작업 공정 현장 지원 서비스 시나리오 및 사업화 대상 : (전통 작업 공정 현장 지원 기술을 활용한 사업화) - 전통무형문화 획득 및 전형 기술을 접목한 실감형 창작 미술활동 콘텐츠 및 불화 바탕초 제작 시뮬레이션 도구 사업화 - 천초를 위한 천공작업 효율성 제고를 위한 천공 로봇 제품화 및 사업화 ○ 기대효과 - (전통무형문화 확산) 사라져가는 무형문화재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장인의 기술을 보존하는데 필요한 핵심요소를 IT기술을 활용하여 지원함으로써 국가 무형문화유산의 계승 유지 - (전통무형문화 보존을 위한 인력 양성) 전형 현장 적용을 통한 전통무형기술 연구 및 무형문화 기술의 작업 과정 규명과 전형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IT 융합형 전통문화 전승 인력 양성 - (전통무형문화 발전 연구)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무형문화재의 보존, 장인 기술 전승을 위한 도구 및 안료의 활용 기술 분석 연구를 기반으로 무형문화기술 전승에 대한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이를 활용한 문화기술(CT) 산업 정책 수립 - (한국 전통문화 기반 시장 확대) 한국 전통문화 및 역사와 연계한 미술 관련 창작체험 콘텐츠를 새로운 해외 한류시장 확대 방안으로 활용 (출처 :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851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