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CHAPTER 01 기계소재 가솔린 다운사이징 엔진 및 복합 기술 개발 [ 한승국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가스 차단성 코팅 소재 및 가스 차단 필름 개발 [ 황장연 ] 4 인승 소형항공기 제작 기술 기술이전 [ 고대우 ] 보병대대의 정밀타격능력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보병용 증거리유도무기 ' 현궁 ' 개발 [ 김기철 ] 그래핀과 고분자의 나노구조 제어 원리 확립 [ 김상욱 ] 폐페트병을 재활용하여 친환경 리싸이클 섬유제품 및 가공제 개발 [ 김성훈 ] 온도차로 전기를 생산하는 고효율 ' 열전소재 ' 개발 [ 김진상 ] LED 반사판에 사용되는 고내열 폴리에스테르 개발 [ 김태영 ] Eco/Bio 산업의 기능성부품 생산용 차세대 융복합 가공시스템 개발 [ 박종권 ] 신개념 저원가 FeMn 제조공정의 개발 및 엔지니어링 기술 [ 박종길 ]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이온 전도성 세라믹 연료전지 개발 [ 손지원 ] 함정의 원거리 대지 정밀타격 능력을 향상시킨 순항형 전술함대지유도탄 개발 [ 송창준 ] 전기절약형 고성능 모터 및 고성능 제어시스템 개발 [ 이현규 ] 물성이 향상된 단층 / 복층 구조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용 전사벨트 개발 [ 정지홍 ] 황화수소가 포함된 원유나 가스를 수송하는 수소균열 저항성이 우수한 내 Sour 강관용 소재 개발[ 정환교 ] 빛에 의해 형상이 변화하는 광변형 고분자의 개발 [ 조맹효 ] 산업 폐기물인 황의 가공성 향상을 통한 고부가 가치 신소재 합성 [ 차국헌 ] 고출력 저손실 광섬유 레이저 공통핵심 기술 개발 [ 한원택 ] CHAPTER 02 생명해양 고기능성 및 저장성이 우수한 토마토 품종 개발로 내수 및 수출증대에 기여 [ 원동찬 ] 비알콜성 지방간염 대상 복합제 개발 [ 김미경 ] 바이러스를 제어하는 콩단백질 [ 권요셉 ] 마이크로 RNA 생성 열쇠 , 드로셔 단백질 3 차원 구조 규명 [ 김빛내리 ] 기능성 천연 감미료 소재 글로벌 상용화 기술 개발 [ 김성보 ] 양식 생산성 향상을 위한 친환경 미생물제제 개발 및 산업화 [ 김영옥 ] 배 산업 활로 개척을 위한 차세대 유망 품종 개발 및 보급 [ 김윤경 ] 시공간적 유전체 분석 및 약물 스크리닝 적용을 통해 맞춤치료의 임상 효과 입증 [ 남도현 ] 해양경제영토 확보 [ 문재운 ] 식물성 에스트로겐 고함유 콩잎 생산기술 [ 박기훈 ] 단백질 - 단백질 상호작용 조절을 위한 천연물 유래 독점적 구조 기반의 분자다양성 확보 [ 박승범 ] 세계시장 석권 , 접목선인장 품종 개발과 수출 [ 박필만 ] 류마티스질환 원인 유전변이의 세계 최초 규명 및 치료제 제시 [ 배상철 ] 골질불량 부족 골질 환자를 위한 치주조직 재건 시스템 구축 [ 송주동 ] 내병성이 뛰어난 양배추 품종개발로 해외 수출시장 개척 [ 안경구 ] 한국을 넘어 세계로 향하는 국산종자의 힘 『라온 파프리카』개발로 수입대체 실현 [ 안철근 ] 국내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한 지속형 만성신부전 빈혈치료제의 개발 및 기술 수출 [ 우정원 ] 의료용 바이오 플라스틱 PLGA 생산 미생물 개발 [ 이상엽 ] 유전자가위 Cpf1 기술적용 생쥐 유전자 편집 성공 [ 이상욱 ] 삼채 ( 三菜, 參菜) 의 정체를 밝히다 ! 그리고 무한한 변신 시도 ! [ 이성현 ] 약제 내성 및 잠복 결핵균 치료를 위한 신약후보 물질 (Ecumicin) 의 발견과 응용 탐색 기술개발[ 이한기 ] 난용성 소재의 가용화 기술개발을 통해 기능성 식품의 신시장을 창출 [ 장판식 ] 노화된 조혈줄기세포를 회춘시키는 기술 개발 [ 최인표 ] CHAPTER 03 에너지 환경 프린팅 공정 기반 사물일체형 플렉서블 이차전지 [ 이상영 ] 태양 연료 생산을 위한 광합성 모방 소재 개발 [ 남기태 ] 차원 제어된 페로브스카이트 발광 나노소재의 효율 증가 기법 및 소자 효율 / 안정성 향상 기술개발 연구 [ 김동하 ] 154 kV 급 초전도 고장전류 저감기술 개발 [ 김혜림 ] 태양빛으로부터 직접 화합물을 합성하는 인공광합성 기술 개발 [ 민병권 ] 탄소 기반의 귀금속 - 제로 환원전극 촉매 및 비산소 산화제를 이용한 저온형 연료전지 기술 개발[ 박경원 ]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이용한 바이오부탄올 ( 자동차 연료 ) 생산기술 [ 신용안 ] 다목적 소규모 정수처리 패키지 시스템 [ 오현제 ] 희토류 소재를 저감할 수 있는 신구조 모터 설계 원천기술 개발 [ 유세현 ] 고안전성 리튬이차전지용 고체전해질 제조기술 개발 [ 이영기 ] 자기 - 가습효과를 갖는 연료전지용 차세대 고분자 이온교환막 개발 [ 이영무 ] 고출력 EMP 보호용 핵심소자기술 개발 [ 이재복 ] 하폐수처리 분리막 생물반응 시스템 (MBR) 의 에너지 및 시설비 절감을 위한 1) 정족수 감지 억제제의 생산 및 2) 이를 이용한 QQ-MBR 시스템의 개발 [ 이정학 ] 대기오염물질인 NOx 분해용 탈질폐촉매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및 신촉매용 소재화에 의한 전주기적 순환기술 [ 이진영 ] 실리콘 슬러지로부터 고용량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를 제조하는 업싸이클링 (Upcycling) 기술[ 장희동 ] 차세대 리튬이차전지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고체전해질기반 리튬이차전지 양극 소재 및 전지 제조 기술 개발 [ 정경윤 ] 저온 성능이 탁월한 슈퍼커패시터 개발 [ 정해원 ] 원전 구조물의 지진하중 저감을 위한 최적의 면진장치 개발 [ 조명석 ] 버려지는 / 널려있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소재 개발 [ 홍순철 ] CHAPTER 04 정보 전자 대용량 소셜 및 정보 네트워크 빅 데이터 마이닝 기술 개발 연구 [ 김상욱 ] 스마트 전파 모니터링 플랫폼 기술 개발 [ 최용석 ] 640x480 화소의 비냉각 적외선 검출기 기술 개발 [ 강상구 ] 평창동계올림픽 언어장벽 해소를 위한 韓-5 개국 언어 ( 영어 , 중국어 , 일본어 , 스페인어 , 불어 )자동통역 기술 [ 김상훈 ] 대형 영상 상영관 기반 실감 영상 및 상영 시스템 개발 [ 김영휘 ] 지하철내 초고속인터넷서비스가 가능한 기가급 이동무선백홀 기술 개발 [ 김일규 ] 360 도 전방향에서 시청가능한 완전입체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 김진웅 ] 8 인치 대면적 MIT 웨이퍼 제조 및 MIT 소자 기술 개발 [ 김현탁 ] 차세대 고효율 광노드용 핵심부품 개발 [ 백용순 ] FTA 환경변화 대응 지식기반 무역 서비스 [ 송병준 ] 빅데이터 기반의 생활형 응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스마트라이프케어 시스템 [ 유재수 ] 에너지 저장용 고성능 / 저가격 / 장수명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활물질 개발 [ 이남희 ] LTE-A 기반 단일 RF 다중 스트림 지원 소형기지국 기술 [ 이주용 ]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인터랙션 콘텐츠 제작 기술 개발 [ 전재웅 ] 무안경 3 차원 입체와 홀로그램 영상 제작 기술 [ 정일권 ] 이공계 교육 · 연구 · 산업용 계산과학공학 실행환경 (EDISON) 개발 및 서비스 [ 조금원 ] 초고품질 콘텐츠 지원 UHD 실감방송 기술 [ 최진수 ] 초절전 환경적응 (LASA)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 황치선 ] CHAPTER 05 융합 기술 IoT 기반 무인자동 미니트램 개발 [ 정락교 ] 차로구분이 가능한 정밀위치결정 첨단교통인프라 기술 개발 [ 허문범 ] 세계 최초 다중 암진단 및 신재생 에너지로의 활용이 가능한 에너지상향 기반 복합 나노구조체 개발 [ 권오석 ] 골조 상세설계 및 시공관리를 위한 3 차원 BIM 설계도구 빌더허브 개발 [ 김치경 ] 신장질환자에서 외과적 치료 후 신장 기능 예측 모델 개발 [ 나군호 ] 골이식 없이 식립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 / 보철시스템 개발 [ 양동준 ] 장경간 강합성거더 (SBarch 합성거더 ) 의 철도교 실용화 기술개발 [ 원용석 ] 첨단 메타발견적 최적화기술과 등기하 구조해석을 이용한 설계기법 개발 [ 이재홍 ] 차세대 생명정보 활용을 위한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 이제희 ] 세계 최초로 충전 플러그를 꽂지 않아도 안전하고 편리하게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 전기자동차 상용기술 개발 [ 조동호 ] 뇌심혈관질환 진단에 특화된 자기공명영상 (MRI) 조영제 개발 [ 최병욱 ] CHAPTER 06 순수기초 인프라 다양한 나노물질에서의 광반응 현상 [ 김동호 ] 아시아 1 위 , 세계 11 위 WLCG 최상위데이터센터 달성 [ 노서영 ] 국방연구개발 공력데이터 획득을 위한 삼중음속풍동 운영시스템 개발 [ 김남균 ] 지방조직 리모델링에 의한 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