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정밀의료를 위한 임상시험 활성화 ∘ 정밀의료 실용화를 위한 임상시험 활성화 - 임상시험 수행환경 개선활동 : 문서보관실 확충, 임상시험용 의료장비 도입, 연구자주도임상연구 지원을 위한 표준작업지침서 개발 - 임상시험 종사자에 대한 전문성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임상시험 종사자 CRC, QA담당자 교육 지원 : 연구자, CRC를 위한 정기 세미나 개최 ∘ 방사선의학 및 비방사선의학 기반 IIT 지원 - 23건의 연구자주도임상연구를 지원하여 4건의 논문, 대상자등록, IND/IRB 승인 등의 성과를 도출함. - 약 500건의 심사를 임상연구심의위원회 전자심의시스템(e-IRB)를 이용하여 완료함. (출처 : 요약서 5p) □ 환자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임상연계 통합시스템 개발 1. 대장직장암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유전정보-임상 연계형 방사선치료 평가 플랫폼 구축 ○ 환자유래직장암 오가노이드를 이용한 수술전 항암방사선 치료반응 예측모델 연구 ○ 대장직장암 환자 유래 오가노이드-유전체정보-임상데이타 통합시스템 구축 2.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기반 질병연구 및 신약개발 모델 구축 및 검증 ○ 방사선손상제어를 위한 후보물질 도출 및 유효성 평가 3. 환자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및 배양기술 개발 ○ 대장 오가노이드 안정화 및 대량증식을 위한 기술개발 ○ 간오가노이드 제작 ○ 전이부위 암 유래 오가노이드 제작 (출처 : 요약서 31p) □ 환자중심 방사선유전체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개발 - 두경부암, 대장암, 유방암 환자의 의료 영상 이용 딥러닝 기반 Radiomics 분석, 성능 향상 및 임상정보 통합 라이브러리 구축 - 임상정보 연계 영상 바이오마커 이용 임상 연구 - 갑상선절제술을 받은 유두상 갑상선 환자의 진단 초음파 영상 Radiomics 분석 성능 향상: 암과양성 결절 구분 위한 검증 AUC 0.916 - 수술전 항암화학방사선치료를 받은 직장암 환자의 MRI 영상 Radiomics 분석: 치료 반응 예측 정확도 61.7% - 유방보존치료를 받은 조기유방암 환자의 초음파 영상 Radiomics 분석: 분자아형 구분 AUC AUC 0.663 (ER+), 0.619 (HER+) - Radiomics 분석 결과와 임상정보를 연계하여 라이브러리 구축 및 임상 연구 수행 - Fibrosarcoma 이종이식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CT 영상 분석 전임상 연구 - 산/학/연 분야의 파트너들과 머신러닝/영상분석 관련 기술협력 지속 (출처 : 요약서 58p) □ 정밀의료를 위한 방사선 관련 인체자원 확보 ○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에 필요한 특화된 인체자원은행 운영 ○ 국내 법·규정과 국제 표준에 맞는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구축을 통해 방사선의학 임상·중개연구 수월성 제고 ○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고도화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R&D 수행 1. 자원의 수집, 질 관리, 분양 및 분양 성과물 1) 자원 수집 : 방사선작업종사자 37명, 방사선치료암환자 217명분을 포함한 2,728명의 15,709vial의 검체(혈액 13,169vial, 조직 2,540vial)를 수집함 2) 자원 질 관리 : 국제생물자원환경은행협의회(ISBER), 질병관리본부, 대한병리학회 주최 정도관리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인체자원 제작 및 질 관리 능력을 인정받았고, 인체자원은행 표준운영지침서에 따라 내부 질 관리를 4회 수행함 3) 자원 분양 : 14건의 R&D 연구과제에 2,490명분 3,004vial의 검체를 분양함 4) 분양 성과물 : 분양된 자원의 활용 성과물로 논문 4편이 생산됨 2. 은행 활동 1) 인체자원은행정보관리시스템(Biobank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IMS) 운영 2) 임상연구심의위원회(IRB)에 인체자원은행 운영보고 3) 직원 교육 지원 : 인체자원은행 업무 관련 교육 및 개인정보보호 교육 (10회) 4) 인체자원은행 운영에 따른 조사 및 점검 현황 5) 홍보 활동 : 인체자원 기증 확대를 위한 홍보 : 홍보 동영상 방영, 배너 설치 6) 기타 성과 : ISBER 웹사이트에 한국원자력의학원 및 국가방사선혈액자원은행 로고 게시 등 (출처 : 요약서 133p) □ 로봇 정위방사선 치료기술 개발 기관 고유임무인 방사선의학연구 및 암치료 효과향상을 위해 국내 최초로 본원에 설치, 운영되고 있는 로봇을 이용한 정위 방사선 치료장비인 사이버나이프가 노후화됨에 따라, 본 사업을 통해 아래와 같이 최신의 장비로 교체하여 정위방사선 치료의 축적된 기술의 향상과 최적화된 임상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국외 이전을 통한 기술 선진화 및 국제교육 활성화 등에 기여하고자 함.. ○ 노후장비 교체(3세대→ 4세대 사이버나이프)를 통한 정위방사선치료 원천기술의 계승 및 발전 기반 확보 - 신규 로봇 정위방사선 치료장비의 이용 효율화 및 최적화 강화 ○ 방사선수술 중요 대상암 및 다발성 전이암에 대한 정위방사선치료 임상기술 개발로 기술 선진화 강화 - 정위방사선 임상치료 284례 달성 (전년도 대비 2.5% 증가) ○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3차원 선량계 개발 및 치료장비 방사선차폐 최적화 기술 개발 - 폴리우레탄 수지를 기반으로 하는 방사선 변색 염료 및 개시제의 조성비 변화를 통한 새로운 고체 선량계 최적화 연구 진행 및 가능성 평가 연구 : 국내 발표 1건 - Yu Ra Cho et al : On the Use Factor Analysis and Adequacy Evaluation of CyberKnife Shielding Design Using Clinical Data, Prog. Med. Phys. 2018;29(4) : 논문 게재 1건 ○ 로봇 정위방사선 치료장비 운용에 관한 정도관리 기술 개발을 통해 장비성능 최적화를 구현 - 매월 정도관리 프로그램 수행하여 결과로 구동정확도 ±1 mm, 방사선량정확도 ±2% 이내 유지 - 치료장비 방사선 차폐 최적화 기술 개발 논문 게재 1편 ○ 사이버나이프 기술 이전 및 국제교육체재 활성화 방안 확립 - 로봇정위방사선 기술 이전을 위한 국제협력회의 1건, 전문가 파견 2건 (출처 : 요약서 167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