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TeV 스케일에서의 새로운 물리 탐색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6-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부산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총 연구기간 3년 동안 본 과제를 통해 수행한 연구 활동은 세 가지 주제, 즉 1. 최근에 발견된 힉스 입자와 관련된 LHC 실험결과와 이와 수반되는 여러 가지 입자물리학에서의 문제들, 그리고 2. BICEP2에서 보고되었던 초기 우주에서의 중력파와 관련된 여러 가지 우주론적 문제들, 또한 AMS-02의 인공위성 우주선 관측에서 다시 한번 확인된, 우주선에서 관측된 과잉 양전자 현상, 그리고 3. CDMS, CoGeNT 등 지상에서의 암흑물질 탐색 실험 결과에 초점을 맞춰 수행되었다.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에 대한 결과로서 초대칭 표준모형을 어떻게 개선하면 힉스의 질량을 잘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원래 초대칭을 도입했던 동기를 훼손함이 없이 초대칭 입자를 충분히 무겁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Naturalness-guided ...''[PRD,'15] 외 5 SCI 논문). 특히 이 경우 글루온(gluon)에 대응되는 초대칭 입자인 글루이노(gluino) 질량이 약 2 TeV 정도로 예측되어서, 정말로 그러한지에 관해 향후 LHC run2에서의 실험 결과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BICEP2의 관측 결과, 즉 상당히 큰 값의 초기우주에서 중력파의 효과와 이에 따른 Planck 스케일에 가까운 에너지 스케일에서 우주의 급팽창의 결과에 대하여, 관측 결과와 부합하면서도 기존의 우주의 급팽창에 대한 양자장 이론으로의 기술이 여전히 유효할 수 있다는 것을 3편의 연구 논문을 통해 보였다 (''Primordial gravitational wave...''[PLB,'14], ``Large tensor mode...''[PRD'14], ''Perspective on...''[Front. Phys.'15]). AMS-02에서 재확인된, 예상보다 많은 우주선에서의 양전자 관측 결과를 기존의 WIMP (weakly interacting massive particle) 암흑물질로 설명하되, boost factor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적절한 모형을 제시함으로써 보였다 (''Decaying WIMP...'' [PRD'14]). 그리고 CDMS, CoGeNT 등에서 제시되었던 10 GeV 정도의 질량을 갖는 암흑물질의 가능성과 Fermi-LAT에서 보고된 과잉 감마선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하였다 (''Light dark matter...'' [PLB'14]). 그밖에 LHC 실험 결과와 부합하면서 초대칭 표준모형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대칭 입자들을 무겁게 하면서도, 표준모형의 예측을 벗어날 수 있는 뮤온 g-2를 초대칭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U(1)_{B1+B2-2L1} mediation...'' [PLB'13]).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700013423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