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국내 바이오산업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면서 전문인력 부족 문제가 부상,인력수급현황을 조사하고 개선방안을 제시 - 바이오산업 시장 및 생산 규모가 급증하면서,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국내 전문인력 부족 문제가 부상 - 본 연구는 바이오산업 중 보건의료 분야의 가치사슬 단계별 전문인력 실태조사와 인력수급 전망을 토대로, 국내 바이오 주요 분야의 인력 수급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함. ○ 바이오관련 인력 공급의 양에 비해 기업에서 요구하는 수준의 역량을 갖춘 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남. - 바이오 관련 학과 졸업생수가 많고 석·박사급의 고급인력 배출도 많음에도 인력부족룰이 높은 것은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성을 갖춘 인력양성이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는 것을 의미함. -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의 인력 구조는 학사 학위 이하의 소지자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문 업무를 담당하는 고급 인력인 석박사 학위 소지자의 비중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 - 실태조사에 의한 전망에서 글로벌 바이오시장의 성장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국내 기업들이 법제도 등 국내 비즈니스 환경 개선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투자 및 고용 확대에 대해 소극적임을 반영하고 있음. ○ 국내 바이오인력 양성 정책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바이오인력 정책 효율성 제고 방안, 세부산업별·가치사슬단계별·기업규모별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제시 - 국내 바이오인력 양성 프로그램은 교육 인프라의 부족, 교육수준에 대한 이해관계자들의 의견 차이,효율 적인 인력을 배출하기 위한 통합관리기관의 부재 등의 문제가 있음. - 바이오인력 정책 효율성 제고 방안, 세부산업별·가치사슬단계별·기업규모별 바이오 전문인력 양성 방안 제시 ( 출처: 보고서 요약서 5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