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다양한 차원에서의 Janus 양자장이론들과 대응되는 중력해들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6-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그 동안 초중력 이론의 Janus 해들은 AdS/CFT를 연구할 수 있는 모델들을 제공해왔으며, 주로 D3-와 M2-브레인의 경우에 연구되어왔다. D2-브레인의 IR fixed point에 해당하는 superconformal field theory, 즉 Chern-Simons 항을 더한 3차원 N=8 super Yang-Mills theory은 어떠한가. 이 이론은 4차원 dyonic ISO(7)-gauged supergravity에 대응한다. 이 초중력 이론에서 초대칭 방정식들을 수치적으로 풀어, SU(3), SO(4), 그리고 G2 대칭성을 가지는 초대칭 Janus 해들을 발견하였다.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연구개요에서 서술한 연구 목표에 더하여, 본 연구과제를 통해, 6차원 게이지된 초중력 이론에 존재하는 정적인 초대칭 AdS_6 블랙홀 중력해를 처음으로 구하였다. 이러한 블랙홀은 끈이론에서 유래하는 6차원 F(4) 게이지된 초중력 이론에서 구하였다. 따라서 이 블랙홀은 10차원 massive IIA 끈이론이나 IIB 끈이론의 해로 존재한다. 이 블랙홀의 특징은 다른 차원과 달리, 스칼라 장들 뿐만 아니라, 영이 아닌 two-form 장이 또한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 블랙홀은 AdS_6를 경계로 가지며, AdS_2 x Sigma_{g_1} x Sigma_{g_2}를 지평면으로 갖는 기하이다. 여기서 g_1과 g_2는 두 리만 곡면의 genus이며, g_1>1과 g_2>1인 경우에만 블랙홀이 존재한다. 또한 Sigma_{g_1} x Sigma_{g_2} 뿐만 아니라, Kahler four-cycle in Calabi-Yau four-fold나 Cayley four-cycle in Calabi-Yau four-fold를 지평면으로 갖는 블랙홀들도 얻었다.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때마침 외국의 두 그룹에 의해 5차원 양자장론에서 topologically twisted index가 계산되었다. 이들은 6차원 F(4) 게이지된 초중력 이론에 대응하는, 5d USp(2N) 양자장이론을 Sigma_{g_1} x Sigma_{g_2} x S^1 위에 올려 놓고 topologically twisted index를 계산하였다. 실재로 그 결과 정적인 초대칭 AdS_6 블랙홀의 엔트로피가 5차원 topologically twisted index의 큰 N 극한에 의해 얻어졌다. 이는 최근 매우 활발히 연구된 초대칭 AdS_4 블랙홀 엔트로피를 3차원 양자장론의 topologically twisted index로 얻어낸 놀라운 결과를, 6차원 블랙홀과 5차원 양자장론에 대해서도 확장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였다. (출처 :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214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