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진행된 경혈자극의 말초-척수-뇌 신호전달 체계 규명 과제에서는 경혈경락의 조직학적 특성 및 전기생리학적 기능 연구를 통하여 실체 확인과 신호전달체계를 규명하고자 함 경혈의 형태학적 특성 확인에서는 이종 동물 간 프리모 조직의 조직학적 특성과 동질성을 확보하여 감별기준을 확립함. 장부경락 상관성 확인에서는 위장관 동물모델에서 체표반응점의 침자극 효과가 DRG 내 신경경로를 통하고, 대장-반응점 공통신경의 척수내 경로를 관찰함. 경혈자극의 작용기전 확인에서는 알코올 중독 동물모델에서 경혈 자극이 중독관련부위에서 opioid, sigma 수용체, 교세포 등과 관련되고, 코카인 중독 동물모델에서 코카인 중독행동 억제가 척수 배주신경로와 관련됨을 확인함. 또한, 불면증 동물모델에서 경혈자극의 신경세포 활성화와 우울증 동물모델에서 경혈자극의 치료기전에 해마의 BDNF와 NPY가 관련됨을 확인함. 임상시험을 통한 작용기전 확인에서는 fMRI를 이용하여 전기 자극 후 통증 처리 뇌영역 활성화를 관찰하고, EEG를 측정하여 경혈과 비경혈의 반응 차이 및 경혈자극의 감각·자율신경계 반응과 호흡에 따른 역치변화를 확인함 ( 출처 : 보고서 초록 5p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