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모바일 온라인 게임 서비스에서 발생되는 로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라이브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수익성 제고에 최적화된 운영 시나리오를 추천하는 운영지원 자동화 플랫폼 기술 개발 - 게임 내 발생하는 행위 데이터 기반 게이머 행동 모델 구축으로 사용자 선호도/경향 분석 - 게이머들의 플레이로 누적되는 로그 데이터를 활용하여, 게임수명 연장과 고수익 콘텐츠 확대를 유도하기 위해 최적화된 운영 시나리오를 생성 - 다양한 게임 내 행동 결과를 학습하여, 수익성 제고 목적으로 시도되는 운영 시나리오의 적용 결과를 시뮬레이션 검증 - 신규 콘텐츠, 차기작 기획으로 이어지는 게임 비즈니스 전략 수립에 필요한 게임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 - 게임 내 구성요소와 게이머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 가능한 게임 상황의 예측리포팅 - 무형의 서비스 관리 노하우를 축적할 수 있는 운영 시나리오 DB화 관리 연구 개발 성과 ○ 게이머 데이터 분석 기술 - 미가공 게임 데이터 시계열 특성 및 사건 속성 추출 기술 - 게임 속성 정합 기반 행동 특징 분석 기술 - 분산 처리 기반 게임 상황 데이터 구축 관리 기술 ○ 인게임 행동 패턴 인식 기술 - 게이머 인게임 행동 인식 및 유형 분류 기술 - 게임 내 환경 기반 행동 요인 추론 기술 - 행동 패턴 인식 기반 게임 사건 연계성 분석 기술 ○ 게임 플레이 활성 요소 예측 및 검증 기술 - 게이머 행동 모델링 기반 게임 속성 운영 시나리오 생성 및 검증 기술 - 인게임 환경 속성 기반 게임 경제 시스템 운영 예측 기술 - 소셜 기반 게이머 경제 활동 활성화 요소 최적화 기술 ○ 게임 운영 지표 시각화 기술 - 게임 서비스 상황 지표 실시간 시각화 기술 - 게임 운영 예측 지표 기간별 모니터링 기술 - 템플릿 기반 BI 리포트 자동 생성 기술 연구 개발 성과의 활용 계획(기대 효과) ○ 게임 서비스 운영, 콘텐츠 검증, 리스크 관리 분야를 대상으로 게임 콘텐츠 개발/운영/퍼블리싱의 전 단계 지원이 가능한 상용화 기술의 보급 - 서비스 운영에 적용되는 게임 빅데이터 기반 게임 인공지능 원천 기술의 확보로 진화형 인공지능 펫/NPC 등으로 게임 콘텐츠 응용 분야 확대 가능 ○ 견고한 게임 서비스 검증 및 신뢰성 있는 서비스 시뮬레이션 절차 구축 - 게임 서비스 운영에 따르는 게임 콘텐츠 관리 정책 수립과 서비스 업데이트를 위한 운영자 지원 솔루션으로 활용되어, 기존에 활용되던 운영 조건과 서비스 운영 기록 관리를 효율화 시키고 게임 콘텐츠 수익성 향상을 위한 직접적인 산업 적용 효과를 창출 ○ 보유 콘텐츠를 대상으로 구축된 게이머 모델과 운영 시나리오는 차별화된 노하우 정보 데이터베이스로써, 업체별로 고유한 자산화 축적이 가능 ○ 각 분야별 유관업체는 특화된 게임 자산의 구축 및 게임 비즈니스 협력이 가능 - 단계적으로 가공되는 “로그 데이터 ⇨ 게이머 행동유형 DB ⇨ 게이머 모델링 ⇨ 운영 시나리오” 발생 경로에 의해, 게임 빅데이터 자산 활용 확대 (출처 : 요약문 3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