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제1장 연구 개요 1. 연구개발의 배경 및 필요성 1.1 하천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오늘날 하천 수계 및 하천환경은 광범위한 생물적 요인과 무생물적 요인의 상호작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고도의 복잡성을 지닌 역동적인 체계로 알려져 있으며, 이들 체계는 홍수조절과 생산성, 그리고 생태학적 피난처로서 생물 종 보존의 핵심적인 역할 뿐만 아니라 도시 어메니티, 운송, 여가 및 관광 등 사회문화적 경관의 실체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음(Verdonschot, 2000; Kamp et al., 2007) 최근 독일, 호주,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천의 생태적 서비스(어류, 야생동물, 퇴적물, 양분공급, 홍수저감)와 경제적 서비스(수력 발전, 교통, 농업) 사이의 갈등과 혼란을 통합하고, 하천생태계를 구성하는 지형과 수리적 특성, 물리구조, 생물상, 수질 및 친수 이용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한 하천환경 관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 이와 같은 통합적 하천관리정책의 의사결정 과정을 지원하고 하천복원사업의 성과평가를 위한 측정수단으로서 국가차원의 표준화된 하천환경 평가체계의 개발과 적용이 필수적인 과정으로 이해되고 있음 (출처 : 본문 제1장 연구 개요 31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