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의료영상진단기기 CT /X-ray tube insert의 내열소결성형소재 MHC 타겟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동남케이티씨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핵심기술 - 내열 MHC 소재 고온 소결성형공정 및 단조공정 개발 - W/Re 고온소결공정 개발 □ 최종목표 의료영상진단기기 CT /X-ray tube insert의 내열소결성형소재 MHC 타겟개발 □ 개발내용 및 결과 가. 내열 MHC 타겟 성형 공정 개발 - 내열 MHC 소재 설계기술 개발 - 내열 MHC 소재 Hafnium Hydride 배합 공정 개발 - Tungsten Rhenium alloy의 Perrhenic acide 합성배합 공정 개발 나. 내열 MHC 소재 고온 소결성형공정 개발 - 내열 MHC 소재 표면 단조 공정 개발 - Tungsten Rhenium 고온소결공정 개발 다. 금속 미시적평가 및 성능평가 - 내열 MHC 타겟 방사선 성능평가 - 내열 MHC 미시적 금속조직분석평가 - HMC 표면 난삭정밀연마가공의 tribological 특성평가 □ 기술개발배경 최근에는 방사선노출량을 최소로 하는 저선량CT가 대세를 이루고 있다. 저선량CT는 동일한 영상을 짧은 시간에 촬영하기 위하여,고속의 Gantry를 개발하고 있다. 이것은 엑스선관의 원심력이 더 크게 작동되어 엑스선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원인이 된다. 동일한 열용량을 가지는 MHC 타겟 개발로 고열내구성을 최적화하는 기술이 핵심기술이다. 더 높은 수명과 연속 엑스선 발생을 위해서 내열소결성형 MHC의 소재로 교체하므로, 이러한 기술은 글로벌회사에서 독점적으로 신소재를 개발 적용하고 있다. □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MHC에 대한 소결공정성형에 대한 기술공정을 보여주고 있다. MHC는 상온에서 성형후 2,200±100℃ 진공분위기에서 10 - 12시간 이상으로 소결후 1,200℃에서 단조공정을 수행한다. □ 적용분야 해외의 OEM X-ray tube 판매업체의 정보를 확보하고, 특히 CT장비를 재생하여 판매하고 있는 회사에서 핵심적인 부품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이 개발되면 품질보증 후 샘플을 공급하고 제품을 판매하고자 한다. 특히, 북미 RSNA 전시회에 참가하여, 메이저업체인 GE, Siemens, VAREX의 제품의 개발동향과 타겟소재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고 적용하고자 한다. (출처 : 요약(초록) - 3. 기술개발 결과요약 4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7187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