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보조진단 시스템의 경우 질환별 단편적인 연구가 진행 되고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질환에 대해 필요한 파라미터 BI-RADS를 알고리즘으로 정량적으로 측정함으로써 의사가 진단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 핵심기술 빅 데이터 분석기반 유방암 초음파 영상 분석 후 양성/악성 구분 가능한 알고리즘 및 유사환자 검색 소프트웨어 □ 최종목표 미국 영상의학회에서 제정한 BI-BADS분류법을 디지털화하여 자동 계산함으로써 초음파 영상의 영상학적인 이상소견을 기록하고 이를 분석하여 병변을 진단하는 유방 초음파 검사을 위한 BI-RADS기반 초음파 보조 진단 시스템 시제품 개발 및 기술 문서 심사 접수 □ 개발내용 및 결과 • 유방암 초음파 영상분석 소프트웨어개발 • 초음파 영상분석 양성/악성 구분 가능한 알고리즘 개발 • 이종데이터를 이용한 통합진단 및 유사환자 검색 소프트웨어 개발 • 컴퓨터보조진단시스템 통합구현 • 시범적용을 통한 제품안정화 □ 기술개발배경 유방암의 조기 진단 및 초음파 영상의 정확한 분석은 임상 의사들에게 피로감을 주며, 이러한 임상의사의 피로감을 줄이고 또한 의사간의 주관적 평가의 차이점을 줄이기 위한 정량적인 시스템 개발은 치료기술선진화 및 치료기술개발로 국민보건향상 및 치료기술 선진화, 첨단 과학 기술을 융합한 신 의료기기 개발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 CAD는 컴퓨터가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의료영상에서 이상이 있는 부위를 표시함으로서 영상의학과 전문의의 과다한 판독업무에 도움을 주며 이상이 있는 영상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결과를 참고로 의사가 최종판단을 내리게 하는 진단보조 시스템이다. □ 핵심기술개발의 의의 • 유방암의 자동진단 기술을 바탕으로 의료기기의 국산화로 국가경쟁력을 제고시킬 수 있으며 갑상선암, 자궁경부암 등으로 라인업 가능 • 국제 유방암 진단기기 시장 진출을 위한 국내 유방암 진단기기의 원천 기술을 확보 • 병원의 다양한 데이터 활용하여 빅 데이타 기반의 예측 분석 플랫폼을 구축하여 환자의 서비스 모델이 가능하며 데이터 가공분석이 되므로 대외적인 서비스와 수익 모델을 창출 □ 적용분야 유방암 검진 수술하는 여성 산부인과병원, 대학 종합병원 (출처 : 요약 - 3. 기술개발 결과요약 6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