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최종 목표 : 전립선암의 PSMA 타겟 생검을 위한 US-NIRS 영상 시스템 개발 세부 목표 1) 초음파프로브 와 근적외선 광학프로브를 결합한 다중 영상화 모듈 개발 2) 표적화 가능한 다중 영상화 모듈 용 조영제 개발 3) 전립선암 동물모델을 이용한 개발 영상기기의 최적화 조건 확립 4) 나노조영제의 in vivo 검증 5) 융합영상 유도하 PSMA 타겟생검의 타당성 검증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1차년도 ○ 목표1-1 : 상용경직장 초음파 프로브에 결합가능한 근적외선 광학모듈 개발 ○ 결과1-1 : 상용 선형초음파 US 프로브와 DOT 기반의 NIRS 모듈의 설계조건을 확보하여, 해당 결과를 근거로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였고 PCT 출원 계획임 ○ 목표1-2 : 전립선암 특이적 표적화를 위한 조영제 개발 ○ 결과1-2 : 종양 바이오마커 특이적인 생검을 위한 조영제 설계 및 가능성 확인하여, 학회보고를 진행하였고 SCI 논문으로 제출할 계획임 □ 2차년도 ○ 목표2-1 : 생체전립선 광학 신호의 실시간 단면 영상화 재구성 기술 정립 ○ 결과2-1 : 경직장 프로브의 형태와 인체 전립선의 해부학적 구조에 최적화된 NIRS 획득 전략 수립과 초음파 이미징구현과 동시에 흡광 이미징 구현이 가능한 US-NIRS system ○ 목표2-2 : 전립선암 동물모델 제작 및 개발된 융합 모듈로의 조영제 최적화 조건 확립 ○ 결과2-2 : 전립선암 (LnCap) 동물모델 확립 및 조영제 특성 평가를 통해 시간경과에 따른 영상 강도 확인 □ 3차년도 ○ 목표3-1 : 동물모델을 이용한 융합 모듈의 영상화 유용성 검증 ○ 결과3-1 : 전립선암 영상 진단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다채널 근적외선분광 시스템의 개발 ○ 목표3-2 : 전립선암 동물모델 내에서의 조영제 안정성 평가 ○ 결과3-2 : 고해상도 영상을 통한 근적외선 조영제(A-ICG) 의 전립선암 종양모델에서의 영상 효율 평가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본 연구 수행을 통해 “전립선암의 PSMA 타겟 생검을 위한 US-NIRS 영상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 개발 및 원천 기술의 지적재산권을 확보하였음 ○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확보된 US-NIRS 융합 모듈 기술 및 근적외선 조영제 기반 기술은 전립선암의 진단을 위한 생검 시 활용하는 것을 목표로 함. 이에 더하여, 해당 기술들은 solid tumor 타암종에도 적용이 될 수 있어 파급력이 크다고 할 수 있음. ○ 임상에서 현재 활용하고 있는 US 영상용 프로브를 기반으로 NIRS 광학모듈과의 퓨전을 구현 하였고, 후속 연구를 통해 더 좁음 면적의 US 프로브에도 구현하게 된다면 본 연구과제의 결과물들을 바탕으로 신속한 실용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됨. ○ 특히, 근적외선 조영제는 바이오마커 특이적인 생검을 위해 활용도 가능하며, 수술 시종양의 경계를 명확히 구분하거나 치료제의 효능을 평가하는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이 가능함. (출처 :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