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아토피 피부염(AD) 소아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래 파마바이오틱스 미생물(PhaMO)의 단백체 정보 제공 및 PhaMO의 대사모델 구축 ⦁ AD모델 시스템(AD질환동물 및 인간 대장세포)에서의 PhaMO처리에 따른 비교 단백체 분석을 통하여 효능 검증을 위한 표적 단백질 발굴 ⦁ AD소아 장면역조절능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기 위한 활성기반 단백체 프로파일링(Activity-Based Protein Profiling)기술 개발 및 이를 활용한 PhaMO의 효능검증기술개발 □ 연구개발성과 ⦁ 아토피피부염(AD) 소아의 장내마이크로바이옴 분석기반 파마바이오틱스 후보 미생물(PhaMO)의 영양원별 균주 생리(혐기에너지대사) 및 대량배양시스템과 PhaMO 후보에 대한 단백체 DB 및 전처리 조건을 성공적으로 확립함. ⦁ A.muciniphila, R.gnavus 두 균주에 대한 영양원별 단백체 DB 분석을 완료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주석화 DB 및 유기산 분석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구축한 AD모델 시스템은 PhaMO 지표단백질 선정을 위한 활성기반 단백체 프로파일링 기술개발에 중요한 기반 지식으로 활용될 것임. ⦁ 활성기반 지표단백질을 선정하기 위해 환경 변화에 따른 단백질 발현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PhaMO 특이적 대사에 관여할 것으로 예측되는 후보 효소를 선정하였음. ⦁ 두 균주의 기본적인 생리 특성을 파악 및 장내 미생물의 대량배양기술 확립은 국내 미생물기반 기능성 의료 약품 개발의 안전성 및 대규모 공정에 필요한 기반기술을 제공함으로써 프로바이오틱스의 의약용 치료제의 상업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인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히 장내 절대혐기성 균주의 단백체 DB는 국내외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필수한 기반지식을 제공하므로 학술적 의의와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 SCI 3건의 논문과 학회 포스터 발표 2건을 수행함.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인체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특히 장내 절대혐기성 균주의 단백체 DB는 국내외 인체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 필수한 기반지식을 제공하므로 학술적 의의와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될 단백질 활성기반 추적체(probe)개발은 향후, 아토피피부염 환자에 적용될 파마바이오틱스의 추적 및 효능평가 기술로 사용될 기반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산업적, 학술적, 과학적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기대됨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