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 결과 및 시사점 가구의 식품 구입 빈도는 주 2∼3회 39.2%, 주 1회 40.8%로 주 1∼3회가 대다수(80.0%)이며, 주요 식품 구입 장소는 대형 할인점(37.3%), 동네 중소형 슈퍼마켓(29.7%), 재래시장(21.7%)순으로 이용 비중이 높음. 인터넷으로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30.2%)의 가격 및 품질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각각 3.8점, 3.7점이며, 친환경 식품을 구입하는 가구(52.3%)의 가격 및 품질 만족도는 각각 3.5%, 3.8%임. 가구의 69.6%는 기능성 식품을 섭취하며, 비타민 등 특정 성분 식이보충제(70.3%)와 홍삼·인삼(55.6%)을 섭취하는 가구가 많음. 가구에서는 쌀을 2∼3개월에 1회(58.8%) 조달하는 비중이 가장 높음. 채소류는 주 1회(42.2%) 조달하는 가구가 가장 많고, 소포장에 비해 벌크 형태 구입 비중(52.8%)이 높음. 과일류는 주 1회 구입이 47.4%에 달하고, 성인 가구원은 사과와 수박을 선호하는 반면, 20대 이하는 딸기와 바나나를 성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가구 내 식품 주 구입자가 채소류와 과일류 구입 시 우선 확인하는 정보는 신선도와 가격이며, 과일류의 경우 당도를 고려하는 비중이 15.4%에 달함. 가구에서 축산물 구입 시 우선 확인하는 정보는 신선도(32.1%), 원산지(15.3%)의 순서임. 가구의 28.1%는 미국산 수입 쇠고기를 소비할 의향이 없다고 응답하였으나, 호주산 수입 쇠고기에 대해서는 '먹겠다(51.9%)'고 응답한 가구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음. 수입 돼지고기는 가구의 41.7%가 '먹지 않겠다'고 응답함. 가구에서 김치를 주로 '직접 만들어(47.8%)' 조달하고, 상당수는 '가족·친지(43.4%)'로부터 조달받는 것으로 나타남. 가구에서 평가하는 식생활 만족도는 5점 만점 기준으로 평균 3.5점이며, 개인 식생활 만족도는 청소년 3.6점, 성인 3.6점 수준으로 높게 나타남. 성인은 식재료가 국산 농산물인지 여부(3.5점)에 관심이 있으며, 지역 농산물(3.4점)·친환경 식품(3.3점)인지 여부에 대한 관심은 비슷한 수준으로 조사됨. 청소년은 식재료의 국산 농산물(3.4점)·지역 농산물(3.1점)·친환경 식품(3.0점) 여부에 대한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성인에 비해 낮음. 가구 단위 외식은 2주일에 1회(35.6%)가 가장 많고, 외식 선택 시 음식의 맛(44.8%)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함. 가구의 71.8%가 가정 내 식사에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고,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이용 비중이 높은 편임. 가구 단위 배달·테이크아웃의 주요 메뉴는 치킨 등 닭요리(35.6%)로 나타났으며, 배달·테이크아웃을 이용하지 않는 주요 이유는 값비싼 가격(26.9%), 맛이 없음(19.6%), 화학 조미료 사용(13.2%)순으로 조사됨. 식품 관련 소비 정책 중 성인과 청소년 모두 '식품 안전 보장'을 각각 37.3%,34.4%로 가장 중시함. 식품의 안전성 문제에 관심이 있는 성인과 청소년은 10명 중 각각 5명, 3명 정도이며, 성인의 58.6%는 안전한 식품을 위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국내산 식품 품목별 안전성 인식은 평균 5점 만점에 성인과 청소년 모두 3.3∼4.0점 이상으로 비교적 높게 평가하였으며, 수입산 식품 품목별 안전성 인식은 평균 5점 만점에 2.7∼3.3점 수준으로 국내산보다 낮음. 성인의 식품 안전관리 주체별 중요도 평가 결과는 생산자가 가장 중요하고, 그 다음으로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유통 및 판매업체의 중요성을 높게 평가함. 성인의 경우 식품 표시사항과 관련하여 청과물과 육류 구입시 가격 및 원산지를 가장 많이 확인하고, 가공식품 구매 시는 유통기한 및 원산지를 우선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남. 식품 표시제도의 인지도는 원산지 표시제도(95.6%)와 유기농 인증제도(90.8%)가 가장 높음. 성인 가구원이 응답한 음식에 관한 기초 지식을 교육하기에 적절한 시기로는 초등학교 저학년(37.5%), 초등학교 고학년(26.0%), 중학생(20.4%), 유아기(8.9%)순으로 조사됨. 식품소비행태조사는 향후 농림축산식품부 등 정부의 식품 관련 정책 수립과 기업의 시장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됨. 조사 결과의 신뢰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해 통계 수요자의 의견을 수렴하여 조사추진체계를 개선하고, 철저한 사후관리 및 조사통계 공개 등을 추진할 계획임. (출처 : 요약 5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