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모바일 증강현실(m-AR) 기술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0-15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박세환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서언 m-AR(mobile-Augmented Reality: 모바일-증강현실) 기술은 C-P-N-D(Contents-Platform-Network-Device)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산업이다. 즉, 사용자는 디바이스(D)를 착용하고 유무선 통신망(N)을 통해 앱스토어(App store) 등 플랫폼(P)에 접속하여 m-AR 콘텐츠(C)를 이용하는 것이다. m-AR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수요자의 장치(기기)와 핵심기술을 C-P-N-D 생태계와 결합시키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아울러 m-AR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이들 구성요소가 균형적으로 발전된 생태계를 형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통해 향후 일상생활에 적용되어 가치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1~4]. m-AR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본 장치는 GPS 및 중력센서(지리/위치정보 송수신하는 시스템), AR 솔루션(위치정보 시스템과 상세 정보를 현실 배경에 적용하는 기술), 디스플레이 기기(스마트폰 내의 디스플레이 모듈) 등이 있다. m-AR 시스템을 운용하는 핵심기술은 트래킹(tracking: 특정인의 위치/방향/움직임 등) 기술, 정합(registration: 가상 영상을 실제 영상과 합치는) 기술, m-AR UI/UX(모바일 환경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사용자경험) 기술, 시각화(visualization) 기술 및 디스플레이 기술 들이 있다. 2. m-AR 산업의 가치 및 응용 분야 2.1. 산업의 가치 스마트폰의 대중화, 이동통신 시스템의 비약적인 발전, 광대역/초고속 무선인터넷 서비스 등의 발전과 함께 m-AR 산업이 빠르게 상용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기술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정책적 혜택을 수요자에게 제공하고 있다[1, 2]. 이러한 m-AR 산업의 다양한 가치분석 결과를 에 나타낸다. m-AR 산업의 가치분석 구분 m-AR 산업의 혜택 기술적 가치 - 스마트폰의 고성능화와 앱(Application)의 다양화 - 전문인력 양성과 인프라 확대 - 모바일 소프트웨어 산업 성장 등 경제적 가치 - 앱 콘텐츠의 서비스 활성화를 통한 수익모델 창출 - 앱의 홍보 및 품질 향상을 통한 기업의 매출액 증가 - 스마트폰 시장 성장 등 사회문화적 가치 - SNS 등 커뮤니티 문화의 확산 - 앱 콘텐츠를 이용한 다양한 산업 전개 등 정책적 가치 - 공공기관의 앱 콘텐츠 정보 활성화 - 모바일 서비스의 정부 정책 지원 등 *자료: 김지희(2017.10.)/재구성. 2.2. 응용 분야 도시설계 및 건축/건설, 교육, LBS(Location Based System) 및 모바일게임 등 여러 산업 분야에서 m-AR 기술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이들 현황을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5, 6]. - 도시설계 및 건축/건설 분야에서는 3D 설계 기법을 적용하여 건축물의 배치 등을 가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교육 분야에서는 실물 책자와 함께 생동감 넘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상이 나타나는 m-AR 책을 개발하여 책을 읽는 또 다른 흥미를 제공하고 있다. - LBS(Location Based System) 분야에서는 실제 도로 화면과 진행 방향, 거리, 이동시간, 도착시간, 주변 차량의 상태 및 전방 신호 등 다양한 안전운전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모바일게임 분야에서는 2016년 m-AR 기술의 대표적인 사례로 손꼽히는 lsquo;포켓몬 GO rsquo;가 출시되면서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m-AR 플랫폼 시장의 수요 니즈는 콘텐츠의 다양성을 요구하고 있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킬러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이 최우선적인 과제이다. 선진국(미국/일본/독일 등)에서는 m-AR 산업을 신성장동력 산업군으로 선정하고 R BD 및 기업 지원에 주력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0년부터 제도적 지원을 해오고 있으나 여러 가지 이유로 3D-TV의 상용화가 지연되면서 관련 산업의 동반성장이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7]. 3. m-AR 기술개발 동향 3.1. 콘텐츠 보안기술 개발 동향 3.1.1. 소프트웨어 기술 AR 콘텐츠를 보호하고 이를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활용되고 있다. 주요 기술로는 ⅰ) CAS(Conditional Access System: TV 방송 서비스의 접근제한 시스템) 기술, ⅱ) 디지털콘텐츠 저작권의 광범위한 관리 및 제어를 위한 DRM(Digital Rights Management) 기술, ⅲ) 콘텐츠의 저작권 정보 및 유통경로도 추적할 수 있는 Watermarking 및 Forensic Watermarking 기술 등을 들 수 있다. 현재의 AR 콘텐츠 보호 및 관리 기술은 저작권 침해를 방지하는 1차 예방책에 중점을 두고 있다. 이는 콘텐츠를 암호화된 압축파일로 저장하여 특정 시스템 내에서만 구동되도록 하거나, 원본과 사본을 구분할 수 있는 표지를 삽입한 후 원본만을 인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대표적이다[10]. 3.1.2. 콘텐츠 보안프로그램 인터넷 망의 해킹 공격이 갈수록 지능화, 다변화되면서 AR 콘텐츠의 보안도 여러 위협요인에 노출되어 있다. 악성코드(Neon Exploit System, Eliesta 등) 자동생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누구나 손쉽게 만들 수 있어 악성코드의 수가 매년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AR 콘텐츠의 불법복제와 저작권보호를 위한 콘텐츠 보호 방안에 대한 국내외 주요 연구개발 사례를 간단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9~12].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그룹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시퀀스의 길이나 이를 조합하여 유사한 악성코드의 유사도 측정값(1에 근접)을 측정하여 악성코드를 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한양대학교 연구팀은 엔트로피(entropy) 그래프를 분석하여 악성코드를 분류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부경대학교 연구팀은 선택된 객체 내의 꼭지점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기법으로 불법복제를 방지하고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는 3D 콘텐츠의 다중 워터마킹 기법을 개발하였다. ―SK텔레콤에서는 2017년 2월 정부의 지원을 받아 양자암호화통신 국가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바 있다. ―중국은 2016년 8월 양자위성 Mucius(墨子)호를 세계 최초로 발사하여 안정된 양자통신망을 구축·운용하고 있다. 중국의 Zhejiang 대학 연구팀은 게임 모델에 Fuzzy-Neural Network 이론을 적용하여 최적의 네트워크 공격과 방어를 결정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제시한 바 있다. 3.2. 제품 개발 사례 다양한 모바일기기(스마트폰/태블릿PC/GPS/PDA 등)에 m-AR 기술을 적용한 플랫폼/서비스/솔루션들이 출시되면서 모바일게임/생활편의 서비스/건축/교육/오락/상거래/공간정보/의료/산업/군사/방송/광고/쇼핑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되고 있다. 국내외 대표적인 제품 개발 사례를 간단히 요약하면 와 같다[1, 2, 13]. m-AR 기술을 적용한 제품 개발 사례 국내 개발 사례 게임 분야 - 캐치몬: m-AR과 LBS 기술을 접목한 모바일게임 플랫폼 - 터닝메카드: 손오공의 로봇과 미니카, TGG를 결합한 모바일게임 플랫폼 - 터닝메카드 GO: 일점사 인터랙티브의 모바일게임 플랫폼 기타 분야 - 삼성당: 디지털 애니메이션 영상 기반의 m-AR/VR용 e-book - 지니키즈: 3D 공룡 증강현실 앱 등 유아교육 플랫폼 해외 개발 사례 게임 분야 - 포켓레이싱: 역동적인 레이싱 게임 플랫폼 - 포켓몬 GO: AR 기술을 활용하여 공동개발한 게임 플랫폼(AL국의 포켓몬/닌텐도/나이앤틱 등) 기타 분야 - 독일의 BMW: 스마트폰으로 자동차 내부를 확인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 네덜란드 건축협회: 모바일 건축 애플리케이션(SARA) *자료: 김지희(2017.10.), Superdataresearch.com(2016)/재구성. 4. m-AR 산업 활성화 방안 m-AR 산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관련 기업의 적극적인 투자 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아울러 민간 주도의 m-AR 생태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정책적·제도적 지원이 뒷받침되어야 한다[7, 14, 15]. ■ 정부의 역할 ―AR 기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산업 성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서비스의 안전성 확보 및 품질 향상을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0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