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T세포의 microvilli유래 분자의 분석을 통한 면역시냅스 조절인자 규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중앙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면역시냅스는 T세포와 항원제시세포(APC)의 세포-세포간 결합으로 형성되어지는 역동적인 초미세 분자구조체임 - 면역시냅스에 관련하는 분자들의 이상은 아토피, 류마티스성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천식등과 같은 다양한 자가면역성 질환과 유방암, 폐암, 간암 및 대장암등의 발병과 관련이 깊음 - 따라서 면역시냅스내 존재하는 분자들의 동정 및 이 분자들의 T세포와 APC간 신호전달 역할 규명은 면역반응을 제어할 수 있는 핵심이라 할 수 있으며 면역시냅스의 제어기술은 신약 및 의료산업의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T세포의 막에서 유래된 microvilli 및 막유래 단백질 입자들을 구성하는 특이적 단백질 및 신호전달 물질들을 포괄적으로 동정하고 면역시냅스 형성 및 세포-세포간 신호전달 시 micovilli 특이적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하고자 함. 나아가 동정된 단백질들의 KO/TG 마우스 모델을 통해 in vivo 기능을 규명하여 자가면역 질환이나 암과 같은 질병제어 방법을 연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1. T세포에서 생성되는 microvilli 및 MoMP내 존재하는 단백질 동정 및 cytokines 규명 - MoMP에 특이적으로 mitochondiral-specific 단백질들이 MoMP에 다량 존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ATP5A, ATP5B, ATP5H, ATP5O 이 높게 발현하는 것을 관찰하였음. 또한 T세포와 B세포의 결합 시 mitochondria가 synapse 쪽으로 모이는 것을 관찰하였음 - MoMP에서 IL-3, GM-CSF, sICAM-1, IFN-gamma, IL-2, TNF-alpha, MIP1-alpha, 및 MIP1-beta등이 다량 확인됨 2. Proteomics분석을 통해 동정된 MoMP 특이 단백질의 기능분석 - MoMP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mitochondiral ATP5계열의 단백질 중 가장 높게 발현하는 ATP5H를 과발현시킨 T세포에서 CD3/28 antibody를 이용하여 활성화 시켰을 때 phospho Erk의 발현양이 매우 증가하는 것을 관찰 하였음. 또한 naive T 세포에서 pJNK 및 pPI3K이 발현이 많이 관찰 되며, CD3/28 antibody 활성시 오히려 감소하는 양상을 관찰됨. IL-2의 생성량 및 mRNA의 발현양이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되었고 ATP5H의 발현을 억제시킨 T세포에서 대조군 대비 pZAP70, pPI3K 및 pErk의 발현이 감소 - Immune synapse 형성과정동안 mitochondria는 cSMAC에 주로 위치하며 면역시냅스 형성 후 T 세포의 ATP5H가 B세포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음. 이를 토대로, mitochondria 단백질들이 immune synapse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으며, energy 공급원으로서가 아닌 APC로 전달되는 signaling 분자로도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함 3. MoMP 특이 단백질의 KO/TG 마우스를 이용하여 in vivo 역할 규명 및 환경호르몬 영향에 따른 T세포의 mitochondria 관련 단백질 변화 규명 - BPA를 노출 시킨 쥐의 CD3 T세포의 mitochondria 변화 및 그에 따른 T 세포의 기능 변화를 관찰하였을 때 mitochondrial ATP synthesis coupled electron transporter signaling 관련 단백질의 증가하고 mitochondria의 fusion관련 단백질인 MFN2 및 ferritin heavy chain 단백질 발현이 감소하는 반면 fission 관련 단백질인 OPA1단백질의 발현이 증가하였음. 또한 Chitinase 3 Like 1 (CH3L1)과 Matrix Metallopeptidase 9 (MMP9)이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음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T세포의 활성 시 생성되는 microvilli와 이에서 유래된 MoMP의 구성 단백질 및 cytokine 규명은 더욱 포괄적인 면역시냅스 조절 기작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음. 이를 통하여 면역시냅스 및 T세포와 APC의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새로운 생체타깃 발굴하고 이들을 제어하는 기술 방법을 모색하여 자가면역 질환이나 암과 같은 질병의 제어를 위한 학문적 기초를 마련할 수 있을 것임 - 환경호르몬등의 외부자극에 의한 T세포의 mitochondria 변화가 cytokine 및 T 세포의 기능을 변화시켜 암 및 자가면역질환 발생 원인이 됨을 밝혔음. 따라서 관련 단백질들의 기능 조절을 통하여 외부환경자극 원인의 면역관련 질환 연구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 면역시냅스 조절인자들이 어떻게 면역시냅스를 조절하고 T세포 활성 또는 APC와의 신호전달에 관여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가면역질환 또는 암의 발생을 연구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음 - T 세포-APC 간에 형성되어지는 면역 시냅스 및 T 세포 활성능을 제어 할 수 있는 제약의 개발은 향 면역질환 및 항암제 개발 시장 등에 다양하게 응용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156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