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세포유입성 항체-매개염증반응의 기전 및 SLE 병인과의 관련성 규명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세포유입성 항체-매개염증반응의 기전 및 SLE 병인과의 관련성을 규명을 목표로 하여 아래의 결과를 얻었음: 1) E3 ligase의 한 종류인 β-TrCP2 분자가 항-DNA 모델항체를 면역세포의 세포질내에서 인지함으로써 염증성 싸이토카인 분비에 관련된 신호전달경로를 개시하는 인자임을 밝혔음. 2) 항체가 세포질로 들어가는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BRET (bioluminescence resonance energy transfer) 원리에 기반한 ‘세포유입성 항체의 정량적 검출시스템을 개발하였음. 3) SLE 환자 혈액에 존재하는 세포유입성 항체의 양과 병증 중증도와의 관계를 확인 중에 있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세포유입성 항-DNA 항체와 결합하는 단백질 동정 및 이를 통한 신호전달경로분석: 당초 계획했던 방법대로 TAP(tandem affinity purification), LC/MS 분석, STING database 분석, co-ip, 신호전달경로 분석 등을 수행하여 100% 목표 달성 • 세포유입성 항체검출 시스템 (CEll-based System for Internalizing Antibodies, CESIA) 확립; 당초 계획했던 방법대로 BRET 원리를 이용한 세포유입성 항체검출 시스템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100% 목표 달성 • SLE 환자에서 세포유입성 항체와 염증반응과의 관련성 분석: 환자 혈액을 수집하는데 생각보다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려서 ‘SLE 환자에서 세포유입성 항체와 염증반응과의 관련성 분석’ 관련연구는 현재 지속되고 있는 상태이며 목표대비 약 50%달성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β-TrCP2가 세포유입성 자가항체에 의한 염증반응에 있어 새로운 세포내 항체 수용체로 작용함을 밝힘으로써 SLE의 새로운 병인기전을 제시 • β-TrCP2와 IgG의 결합을 저해를 표적으로 하거나 β-TrCP2 분자의 신호전달 축을 저해할 수 있는 약물개발에 대한 단서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SLE 치료에 있어서 치료가능성을 제시 • 세포 유입성 항체 검출법을 성공적으로 확립함으로써 이 시스템을 세포내 분자를 타겟으로 하는 세포막 통과 항체의 개발 및 스크리닝 연구에도 활용 가능하며 기술이전 가능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62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