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새로운 광주기적 개화시기 조절 기작 규명을 통한 식량생산 증대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1-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아주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개화시기는 농업에서 작품의 품종을 개량하는데 이용되는 유용한 형질임 - 개화시기를 결정하는 외부 환경요인으로는 대표적으로 광주기 및 온도 변화가 있음 - 실험실 조건 연구를 통해 광주기에 의한 개화시기와 관련된 분자적 조절 기작은 매우 잘 밝혀져 있으나 실제 자연 환경 조건에서 개화시기 조절 기작은 거의 연구되지 않았음 - 본 과제연구를 통해 자연 환경에서 일어나는 개화 조절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또한 새로운 광주기적 개화시기 조절 기작을 규명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본 과제의 최종 목표는 “애기장대를 활용하여 작물의 광주기적 개화시기 조절의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CO 및 FT 단백질의 조절 기작 및 이들의 생물학적·생화학적 역할 규명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안전한 식량생산 증대를 위한 기법 및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 제공하는 것” 이었음 - 연구과제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획득하였음 1. 실험실 조건과 달리 자연 환경 조건에서 FT 유전자의 발현은 아침과 저녁에 높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 2. 적색광/원적색광 비율이 기존 실험실 조건에서 관찬하지 못했던 아침에 발생하는 FT 유전자의 발현 피크에 중요함을 규명 3. 하루주기의 온도 변화 또한 적색광/원적색광 비율과 함께 자연 환경에서 FT 유전자 발현 양상을 결정하는데 중요함을 규명 4. ELF3 단백질이 CO 단백질과 결합하여 불안정화시킴으로써 FT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있는 기작 규명 5. 이러한 자연 환경에서의 FT 유전자의 발현 양상은 광주기 특이적으로 장일 조건에서만 관찰됨을 규명 -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목표로 하였던 연구결과를 획득한 것으로 판단됨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지금까지 대부분의 식물 연구들이 실험실 조건에서 진행되었고 이는 실제 작물 재배지에서의 환경 조건과 달라 획득된 형질이 유용하게 작동하지 않았음 - 본 과제 연구에서는 실험실 조건과 실제 재배지에서의 식물의 생리적 반응성을 결정짓는 환경 요인들을 규명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음 - 이를 통해 전 세계에서 과학자들이 이용하고 있는 실험실 조건이 자연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이해하는데 충분하지 못하다는 사실과, 기존에 획득한 연구결과들이 유효하지 못할 수 있음을 나타냄 - 개화시기 조절 관련 연구를 포함해서 추후 진행되는 식물관련 연구들이 본 과제에서 규명한 조건을 필수적으로 활용해서 진행될 것으로 예상됨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3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2504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