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에 대한 현재 및 미래의 약물요법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06-12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배우철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분석자 서문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NAFLD)은 전 세계적인 비만 확산을 반영하는 만성간질환의 가장 흔한 형태의 질병이다. NAFLD가 진전된 형태인 비알코올성지방성간염(non-alcoholic steatohepatitis: NASH)은 특히 이환율과 사망률 위험을 현저히 높이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NASH에 대한 국내외적으로 승인된 치료제는 없는 상태이다. 질병의 부담을 고려하면 이들 환자들은 치료제 선택권에 대한 요구가 충분히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NAFLD와 NASH의 발달과 진행에 기여하는 기본적인 병태생리적 기작은 매우 복잡하며, 이러한 점은 현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여러 표적들에 대한 다양한 치료제 개발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광범위한 범위에서 약물 개발은 대사 경로, 염증 연쇄반응, 섬유화에 영향을 주는 기작의 조절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비록 NAFLD 발병에 대한 기작이 상당부분 규명되고 있지만 임상시험 등록의 어려움과 임상시험 설계의 복잡성으로 인하여 약물 치료제 개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임상 IIa 단계에서 몇 가지 후보 약물들이 치료약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개발 마지막 단계의 약물들도 간 지방증, 괴사염증, 섬유화의 감소라는 점에서 상당히 좋은 결과들이 보이고 있다. 다양한 코호트 연구를 통하여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가 확립된다면 이들 약물들은 환자 집단에서 잠재적인 이환율과 사망률을 경감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 분석물을 통하여 현재 NAFLD와 NASH 치료제 개발과 관련하여 현재 FDA에서 임상시험 중인 약물과 약효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다양한 검증 방법들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1]. 2. 목차 1. 서론 2. NAFLD와 NASH 임상시험의 종말점(end point) 2.1. 조직학적 종말점 2.2. 조직학의 유망 대리 종말점으로서 생체표지자 2.3. 임상 종말점 2.4. 안전성 2.5. 적절한 임상시험 기간을 결정 3. 개발 과정: 임상 IIA, IIB, III 4. 임상시험 환자 모집에서의 과제 5. 임상 IIa와 IIb 단계의 약물 5.1. 임상 IIa 단계의 약물 5.2. 임상 IIb 단계의 약물 6. 임상 III 단계의 약물 7. 조합 요법 8. 약물 승인이 미래의 임상시험에 끼치는 영향 9. 결론 아직까지 NAFLD와 NASH 치료제로 허가를 받은 약물은 없지만 여러 약물들의 임상 II 및 III 시험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머지않은 미래에 약물이 출시되어서 많은 환자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NASH나 NAFLD의 시장성이 매우 큰 만큼 Pfizer, Novartis, BMS와 같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임상 II~III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동아 ST에서 당뇨병 치료제인 Evogliptin 의 NASH에 대한 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다. 중견 제약사인 파마킹에서 Oltipraz(PMK-N01GI1)라는 후보 약물의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한미약품에서도 LAPSTriple Agonist(HM15211)라는 후보약물의 글로벌 임상 I 시험을 개시한다고 4월에 알린바 있다. 이번 자료는 NASH와 NAFLD 치료제 개발 동향을 한눈에 알 수 있는 매우 유용한 자료이므로 관련 연구자들에게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References 1. Monica A. Konerman et al. Pharmacotherapy for NASH: Current and emerging. J. Hepatol. 2018; 68;362-375. 2. Lecka-Czernik B. et al. Bone loss in diabetes: use of antidiabetic thiazolidinediones and secondary osteoporosis. Curr Osteoporos Rep. 2010;8:178?184. 3. Hannah Jr WN. et al.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and endpoints in clinical trials. Gastroenterol Hepatol. 2016;12:756?763. 4. Sanyal AJ. et al. Endpoints and clinical trial design for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Hepatology 2011;54:344?353. ※ 이 자료의 분석은 일양약품의 배우철님께서 수고해주셨습니다.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0970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