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식품용 살균제(이산화염소, 차아염소산나트륨 등)에 대한 사용기준 개선 연구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8-1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건국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과산화수소(H 2 O 2 ), 오존수, 이산화염소(ClO 2 ),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차아염소산수(HOCl), 차아염소산칼슘(Ca(ClO 2 ) 2 ), 과산화초산(CH 3 COOOH)(2018년 11월 1일자로 허용됨) 7개의 품목을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식품첨가물로 허가하고 있지만 식품에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안전한 식품을 제공하기 위한 살균⋅소독을 위한 개정안으로는 염소계 살균제 사용시 적용 가능한 사용대상, 사용방법, 명확한 규정, 살균⋅소독 후 잔류물 제거방법 및 유통 후의 잔류 제한기준 등이 고려 되어야한다. 보다 안전하고 위생적인 신선편의식품 등 유통식품의 공급을 위해 살균⋅소독 사용기준에 대한 명확화를 통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보고서에는 미국 및 유럽연합 등 제외국의 식품용 살균제 관리현황을 조사하여 항균제로서의 식품첨가물의 사용대상 범위, 식품첨가물 중 살균제 용도로 허가된 물질의 리스트, 육류 가공시 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저감 효과가 있어 허가된 식품첨가물 및 살균 시스템 리스트와 사용기준 등을 분석하여 육류의 경우 식품용 살균제를 선진국 수준으로 확대할 필요성을 검토하였다. 식품제조 및 가공업소별 살균제 사용현황 결과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84%) 사용대상 식품은 신선편의식품, 야채류, 축산물 및 수산물 등 그 종류가 다양하였다. 살균제 제거방법으로는 침지 및 흐르는 물로 제거하는 방법이 있으며 잔류염소 측정방법으로는 테스트 페이퍼를 활용하는 방식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잔류량 조사시험 결과, 이산화염소수와 차아염소산나트륨을 처리한 후 제거과정을(3회, 5분간 침지) 거친 과채류에는 잔류염소가 검출되지 않는 결과를 확인 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염소의 잔류기준 설정은 기술적으로는 불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실험결과 식품의 표면에 따라 세척 후 염소 잔류량의 차이가 나기 때문에 식품 표면에 따른 세척 (또는 농도) 등의 방법을 제시하였다. (출처 : 요약문 6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0348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