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본 연구는 심리적 외상을 받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수면 이상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와 인지적 이상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판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음. 구체적으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증상과 인지기능 저하에서의 수면 매개 효과에 대한 이론을 정립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생물학적 기전을 제시하는 이론을 제안하고자 하였음. 특히, 기존 연구들에서 제시되던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인지기능 이상이나 정서 증상 발생이 수면에 의해 매개된다는 것을 생물학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음.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를 겪은 북한이탈주민들의 수면이 정서적 인지적 기능 이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엄. 연구 결과에서 북한이탈주민의 수면이상과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관련 증상의 관련성을 밝히고, 심리적 스트레스가 수면이상을 발생시키는 뇌과학적 기전을 규명하였으며,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외상에 의한 뇌 변화를 보고하였으며, 각종 수면-일주기 리듬과 인지 및 정서 기능 이상의 상관관계를 밝힘. 최초 연구계획서에 기술된 정량적 목표는 분야 상위 10% 이내 학술지 1건을 포함하여 SCI급 학술지 4건 게재임. 현재 분야 상위 10% 이내 학술지(Psychological Medicine) 1건을 포함하여 SCI급 학술지 5편이 게재 혹은 게재 확정됨. 그 외 4편의SCI 논문이 현재 심사 중이며, 계속 투고할 예정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본 연구를 통해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수면에 대해 다양한 면을 종합한 포괄적 이론을 정립하고,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증상과 인지기능 이상을 매개하는 수면 이상에대한 이론적 가설을 제기할 수 있을 것임. 궁극적으로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에서 수면 뇌파의 비선형적 특성 등 신경생리학적지표를 제공하고 추후 생물학적/비약물학적 치료 방법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임. 부가적으로는 수면의학-정신과학-신경생리학-인지과학-사회학 등 학문간 상호작용을 촉진하고, 통일이나 국가 급변 사태에 대규모 발생 가능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의 특성에 대한 기초 자료도 제공할 수 있을 것임.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