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반복스트레스 자극에 의한 신경내분비축(HPA-axis)조절기능 교란 현상으로 유발된 기억기능손상 동물모델에서 신경세포신생(neurogenesis)과 신경연접가소성(synaptic plasticity) 활성화를 유도하여 이를 회복시킬 수 있는 한방약침 치료요법을 발굴,검증하고 그 치료기전을 규명하고자 함. 이를 위해 스트레스 완화 효과에 더불어 해마조직에서의 신경세포발생과 신경연접가소성 활성화를 이중 타겟하는 침자극점을발굴하고 in vitro 신경돌기성장과 뇌신경세포 가소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한약물을탐색하여 약침요법으로 융합함으로써 기억손상 예방 차원을 넘어 기손상된 기억을 회복시킬 수 있는 신규 한방침 치료기전을 제시하고자 함.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본 과제는 극심한 만성 스트레스인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의한 불안장애 동물모델에서 불안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카테콜아민성 신경세포와 염증성 cytokine의 병리적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자침 및 한약제제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따른 불안증의 치료효능 및 분자생물학적 작용기전을 규명하였음. 본 연구 과제를 통해 지난 3년간(2016.11.01.~2019.10.31) 기억장애,우울증 질환을 대상으로 치료 및 기전 연구를 통해 SCI(E)저널 9편(주저자 9편,과제사사 표기)의 논문을 발표하고 7여 회의 국제 학술대회의 발표, 9편의 국내특허출원,등록을 통한 활발한 학술활동을 하는 등, 본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질환동물모델 개발 및 행동학적 분석과 분자기전연구를 위한 조직학, 생화학,분자생물학에 걸쳐 다양한 실험 인프라를 확보하였음. 특히, 외상후 스트레스에 의한공간적 인지기능 장애 손상 동물모델에서 멜로토닌(Melatonin)의 기억증진 효능과 그 기전을 규명한 연구 성과는 이 분야의 저명한 저널인 BMC Neuroscience(IF=2.173)에 기재된 바 있음(2018.07). 이는 본 연구과제 수행을 통한 9여 건의SCI(E)급 논문을 출간하는 질적 성장을 이루었으며, 침구경락분야 SCI급 저널의 Impact factor(IF)가 평균 1.05인데 반해, 본 과제수행을 통해 발표된 논문의 평균IF가 2.07일 정도로 양적 성장을 이루었음. 연구개발결과의중요성 ◦복잡한 현대사회에서 만성적인 스트레스에 의한 기억기능 장애에 대한 과학적,의학적인 대처 방안 및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 및 방향 제시 가능. ◦만성스트레스로 인한 다양한 복합형 정신질환에서 치료효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방약침요법의 제시와 작용기전 연구는 융합형 한방요법에 대한 과학적, 객관적 근거를 마련해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난치성 뇌질환의 인지기억 손상에 대한 새로운치료전략을 제안 ◦뇌신경과학/한의학 융합분야의 고유기술 축적 및 동 분야 연구인력 양성을 통해 세계수준의 첨단 의과학 시장을 개척하는 기반을 마련하고, 더불어 국가 연구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