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개요 사회적 인간관계 상호작용과 애착 관계를 포함하여 사회적 활동의 동기 및 의사결정 기전에 대한 연구 및 문제해결 프로그램의 개발을 수행. 인간관계 사회행동 요소 중에서 양가성과 자존감을 키워드로 하여 자기상, 타인의식, 내재동기, 의사결정, 상호 애착, 직업의식 등의 뇌 기반을 찾아나감으로써 인간 상호작용의 원리와 뇌과학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에 목표를 둠.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가. 자기상 양가성 규명 - 실제적 및 이상적 자기상에 대한 양가성 작동의 뇌 메커니즘을 규명 - 정서기억 변형에 대한 양가성 작동의 뇌 메커니즘을 규명 나. 자존감과 타인의식 관계 규명 - 타인 의식 유발에서 시선처리와 자존감의 상관관계 특성 조사. - 자존감이 각종 사회상황에서 타인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정서기억 신경매개체 규명 다. 동기 양가성 규명 - 사회적, 여가적 활동 동기에 대한 양가성 평가 과제 개발 및 신경매개체 규명 - 내재 동기의 정신생리적 표지자 규명 라. 자존감과 의사결정 관계 규명 - 구매활동 의사결정과 정서상태 상관관계 평가 행동과제 개발 및 시선처리 특성 조사 - 자존감이 구매활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뇌 기반 조사 마. 애착관계 양가성 규명 - 부모에 대한 양가성이 남녀 상호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뇌 기반 조사 - 상호 애착의 정도가 사회적, 여가적 활동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뇌 기반 조사 바. 자존감과 사회적 자기개념 관계 규명 - 직업의식과 사회적 자기개념 상관관계의 뇌 메커니즘 규명 - 자존감과 사회적 자기개념 상관관계의 뇌 메커니즘 규명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신경매개체 규명은 다양한 사회병리가 뇌과학의 측면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향후 예측, 진단의 수준에서 활용될 선도적 연구가 될 것임. 신경매개체 규명은 정상적 인지와 정서 관련 뇌 활동 탐구와 정신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에 이용되어 왔는데, 점차 병리적인 성격을 띄는 사회문제의 생물학 기반 탐구를 통해 뇌신경 연구가 보다 전반적인 양가성과 자존감의 영역으로 확대응용되는 기회가 될 수 있음. 임상의학의 발전에도 본 연구의 응용이 기대됨. 인간관계와 사회병리는 복잡 다양해지면서 임상적 수준에서의 신경정신병리와 더욱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음. 본 연구에서 탐구할 사회병리의 신경생물학적 기반은 사회문제 발견 및 해결에 응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임상적 치료기법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음. 사회병리, 특히 가정문제 해결은 가족해체의 사회적 비용 감소를 도모하고, 또한 복지예산 절감을 위한 근본적인 해결이 될 수 있음.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