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천연물 유래 약물-표적 단백질 조절물질 발굴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20-03-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충남대학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 연구개요 ◯ 천연물(해양 및 외래생물)로부터 약물-표적 단백질 조절활성을 갖는 원천물질을 발굴하고 효능평가를 통해 글로벌 혁신 신약 개발에 필요한 유효·선도물질 발굴 ⦁ 천연물(해양 및 외래생물) 자원 확보(3종) ⦁ 천연물 유래 약물-표적 단백질 조절물질 분리, 화학구조 규명, 효능평가를 통해 유효물질(hit) 발굴(15종) ⦁ 효능평가, 기전연구 및 독성 예측을 통해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에 필요한 유효·선도물질 도출(3종) □ 연구 목표대비 연구결과 ◯ 천연물(해양 및 외래생물)자원 확보: 6종(계획: 3종) ⦁ 외래생물 4종(Momordica charantia, Rubia philippinensis, Astilbe rivularis, Nandina domestica), 해양생물 1종(Monanchora sp.), 곤충 1종(Allomyrina dichotoma) ◯ 천연물 유래 저분자 이차대사산물 분리 및 화학구조 규명: 45종(계획: 15종) ⦁ 외래식물(Momordica charantia) 유래 신규 6종을 포함한 cucurbitanes 28종 ⦁ 외래식물(Rubia philippinensis) 유래 신규 hydroquinolines 2종 및 유효물질 5종 ⦁ 해양생물(Monanchora sp.) 유래 신규 sesterterpenoid 1종 및 신규 steroids 2종 ⦁ 외래식물(Astilbe rivularis) 유래 C-27-carboxylated oleanane triterpenoids 3종 ⦁ 외래식물(Nandina domestica) 유래 amentoflavone 및 protopine ⦁ 곤충(Allomyrina dichotoma) 유래 신규 tetrahydroquinolines 3종 및 신규 dopamine derivative 1종 ◯ 약리활성 및 기전연구 ⦁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저해작용: 신규 cucurbitane triterpenoids 6종에 대한 혈관평활근세포 증식저해작용 평가 ⦁ sEH 저해활성: 신규 hydroquinolines 2종에 대한 sEH 저해활성 평가 ⦁ 항암활성 및 기전연구 ✓ 신규 sesterterpenoid 1종, 신규 steroids 2종, digiferrol에 대한 대장암세포 증식저해작용 및 기전연구(Wnt/β-catenin 신호전달, p53 경로) ✓ C-27-carboxylated oleanane triterpenoids 3종, pinoresinol, protopine의 세포사멸 유도 및 기전연구 ✓ 3-O-acetylrubianol C의 세포사멸 유도 및 기전연구 ⦁ 효소 저해활성: rubiarbonone C의 cytochrome P450 4F 저해활성 평가 ⦁ 항염증활성 ✓ 신규 tetrahydroquinolins 3종 및 신규 dopamine derivative 1종에 대한 LPS-매개 혈관 염증 보호작용 평가 ✓ syringaresinol의 항염증작용 및 NF-κB 경로 기전연구 ◯ 유효·선도물질: 19종(계획: 3종) ⦁ Cucurbitane triterpenoids 2종: 신규성, 혈관평활근세포 증식 및 이동 저해활성 ⦁ Lignans 2종: MAP-Kinase 매개 NF-ĸB 신호전달 저해에 따른 항염증 작용 및 TRAIL DISC-매개 세포사멸 활성화 기전 ⦁ 신규 hydroquinolines 2종: 신규성, sEH 저해작용 ⦁ 신규 sesterterpenoid 1종 및 신규 steroids 2종: 신규성, 암세포증식(HCT116, SW480) 저해작용, Wnt/β-catenin 신호전달 저해 기전 ⦁ Antraquinone 1종: p53 경로 활성화를 통한 암세포증식(HCT116, RKO) 저해작용 ⦁ C-27-carboxylated oleanane triterpenoids 3종: TRAIL 세포사멸 활성화 기전 ⦁ Arborinane triterpenoid 1종: 선택적으로 CYP4F2 및 CYP4F38에 의한 20-HETE 생성 저해 작용 ⦁ Isoquinoline alkaloid 1종: p53 활성화를 통한 대장암세포의 세포사멸 유도 기전 ⦁ 신규 tetrahydroquinolines 3종: LPS-, CPL-매개 혈관염증 저해 작용 ⦁ 신규 arborinane triterpenoid 1종: IKKβ 인산화를 저해하여 TNF로 유도된 세포사멸 활성화 기전 □ 연구개발결과의 중요성 ○ 해양 및 외래생물 이용에 대한 원천기술 확보 ○ 천연물 유래 유효·선도물질은 글로벌 혁신 신약개발에 필요한 신규 pipeline 제공 ○ 표적 치료제 유효·선도물질 확보에 따른 신약개발기술 혁신 및 고부가가치 창출 ○ 신약개발 원천기술 확보를 통한 첨단융합산업 분야 성장 견인 (출처 : 연구결과 요약문 2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2000004139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