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큰징거미새우, 미꾸리 생태양식 기술개발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02-0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국립수산과학원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친환경 담수 생태양식 기초연구 ○ 재배작물의 면적에 따른 양식어종의 생산성, 성장, 생존율 - 수생식물의 식재 면적과 큰징거미새우 생산성: 60% > 40% > 20% > 0% - 수생식물의 식재 면적과 큰징거미새우 성장 및 생존율: 100% > 50% > 30% > 0% ○ 양식생물 현장 적용실험 - 체중(g): 버들치 0.7 → 2.0, 붕어 4.5 → 16.0, 미꾸리 1.58 → 11.8 ○ 논 생태양식장 표준 모델 - 수원지 확보, 유해생물 침입방지막 설치 필수, 사육기간 한정 → 하우스 시설 필요 2. 큰징거미새우 생태양식 기술 개발 ○ 적합품종 및 재배작물 생산성 분석 - 실험구: 벼/수련 → 큰징거미새우 체중(g): 벼(43.6) > 수련(41.1) 수확량(회수율): 수련 100.3 kg(48.8%) > 벼 98.2 kg(52.8%) ○ 큰징거미새우의 단일 및 복합 생태양식 생산성 분석 - ('18) 단일양식(새우+벼): 큰징거미새우 전장, 체중, 생존율: 13.4 cm, 30.3 g, 41.5% - ('18) 복합양식(새우+동자개+벼): 큰징거미새우 전장, 체중, 생존율: 13.9cm, 32.7g, 24.2% - ('17) 단일양식(새우+벼): 큰징거미새우 생산량, 생존율: 50.8 kg, 40.1% - ('17) 복합양식(새우+미꾸리+벼): 큰징거미새우 생산량, 생존율: 213.9 kg, 50.5% ○ 단백질 함량에 따른 큰징거미새우 치하 성장도 분석 - 단백질함량 45%일 때 체중 성장률이 13,465%로 가장 높게 나타남 ○ 큰징거미새우를 이용한 생태양식 매뉴얼 - (2월) 종자생산 → (5월) 야외노지 입식(유하, 0.3~1 g) → (10월) 수확(40 g 이상) ○ 큰징거미새우 생태양식 경제성 분석 - 벼 단일경작 대비 10배 수익창출: 연(2,185천원) + 새우(1,633천원) > 벼 단일(361천원) 3. 미꾸리 생태양식 현장적용 시험 ○ 수면적의 상대 비율(5개 실험구, 100~0%)에 따른 생산성 분석 - 미꾸리의 최종체중(증가율): 벼 60%와 미꾸리 40%일 때 9.3 g(1.8배 증가)로 가장 높음 ○ 미꾸리 입식종묘 크기에 따른 성장도 분석 - 크기(체중): 5 cm (2 g → 8.5 g) / 10 cm(4 g → 8.8 g), 조기종묘생산으로 당해년도 상품크기 가능 ○ 미꾸리 입식 밀도에 따른 성장도 분석 - 밀도(체중): 90마리/m 2 (4 g → 8.8g) / 270마리/ m 2 (4 g → 8.7g), 300마리/m 2 밀도 사육가능(생산량 증가) ○ 미꾸리 생태양식 경제성 분석 - 벼단일경작대비2.9배수익창출– 유기농벼(1,044천원) + 미꾸리(4천원) > 벼단일(361천원) ○ 미꾸리를 이용한 생태양식 매뉴얼 - (4월) 물벼룩발생 → (5월) 야외노지 입식(1 g) → (8월) 양성 → (10월) 수확(10 g 이상) (출처 : 요약 5p)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TRKO201900018012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