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스트레스 호르몬 유발 우울증상 동물 모델 확립 • 스트레스 호르몬인 corticosteroid 유발 우울증 동물모델을 확립함 • 우울증상 표현형 (phenotype)으로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한 성상교세포 (astrocytes)의 반응성(reactivity) 증가를 확임함 • 우울증상의 바이오마커로 GFAP, Glucocorticoid 수용체 및 모노아민 산화효소 (Monoamine Oxidase)를 탐색 및 도출함 ○ 모노아민 산화효소에 의한 우울증상 발병 기작 연구 • 성상교세포 세포주를 이용, 우울증상 유발 모델에서 모노아민 산화효소 활성도 분석 및 활성산소 유발 측정 (in vitro 수준) •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한 반응성 성상교세포 유발 활성산소의 증가에 따른 신경세포의 구조적, 생리적 변화 확인함 – Spine Density, EPSC 측정 • 스트레스 호르몬에 의한 신경세포 변화에 대한 후보 효능소재의 효과 검증 완료함 • 동물모델에서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 효능 소재가 스트레스 유발 우울 및 인지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 완료함 ○ 확립한 활성도 평가지표를 이용 신경세포-교세포 기반 사회불안장애 모델 개념도 확립 (출처 : 요약서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