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장내 미생물 변화에 따른 섭식량 변화 관찰 - 면역 반응과 미각 변화 상관관계 모델 구축; 섭취 병원성 미생물인 Ecc-15을 이용하여 면역반응 활성화 후, 쓴맛 물질에 대한 반응성이 변화함를 확인함. - Ecc-15 섭취량에 따른 섭식량 변화 관찰; 장내 미생물의 변화가 섭식량 증가시킴을 확인하고, 최적의 조건의 탐색함. - 섭식량 변화 유도시 세로토닌 신경계의 의존성 확인; 장내 미생물에 의한 섭식량 증가가 세로토닌 신경을 막았을 때 발행하지 않음을 확인함. ○ 섭식량 변화의 원인 규명 - 미생물 유래 원인 물질 파악; 유해균과 유익균 모두 섭식량 변화를 유발함. 후형질이 원인물질 가능성 확인함. - 장내 표피 세포에 발현하고 있는 관련 유전자 동정; Nox의 장내표피세포 specific KD으로 원인유전자임을 확인함. - 세로토닌 신경세포에서 관여하고 있는 관련 유전자 동정; Insulin Receptor가 세포토닌 신경세포에서 관여함을 확인. - 돌연변이 초파리를 이용한 면역 반응과 섭식량 변화 여부 관찰; 면역반응을 할 수 없는 돌연변이에서도 섭식량 변화유발 효과를 확인. 면역반응이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음 - Starvation 후 장내미생물에 의한 섭식 조절 행동 (출처 : 요약서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