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 벼 유용형질 지배 원천소재 확보 및 분자표지 개발 통한 육종효율 제고 ○ 벼 고온등숙성 관련 유전인자 이전 및 분자마커 개발 - 전분합성유전자(Wx) 및 신규 고온등숙성 자원(중모1024) ○ 벼 담수·저산소 발아성 유전인자 이전 및 분자마커 개발 - MAS에 의한 저산소 발아성 유전자(AG1, AG2) 보유개체 선발 - 신규 담수저산소 발아성 유전자원 이용 QTL 분석 ○ 벼 내랭성 향상을 위한 유용 유전자 분자마커 개발 - 밀양23호/기호 RIL 및 진부/NPT DH 집단의 생육시기별 내랭성 관련 QTL 분석 ○ 돌연변이에 의한 제초제 저항성 및 전분특성 다양화 육종소재 개발 - 돌연변이 게통의 비선택성 제초제 내성 평가 및 선발 - 배유변이 계통의 유전분석 집단 육성 ○ 저위도 적응 벼 다수성 유전자원 개발 - 아프리카 현지 재배를 통한 다수성 및 복합저항성 계통선발 연구개발성과 ○ 벼 신품종 등록 4점 - 고아밀로스 쌀국수 전용 '팔방미', 현미방 전용 '보드라미', 도열병에 강한 극조생 '백일미', 내수발아 양조용 '중모1042' ○ 돌연변이 '중모1024'의 고온등숙성 유전자위 표지 및 육종활용 - 유전자위: 염색체 5번 8.79Mbp, 19.25Mbp, 염색체 1번 1.49Mbp - 육종활용: 고온등숙성 복합내병성 조생계통 확보 ○ 도입자원 활용 신규 담수·저산소 발아성 유용 유전인자 확보 - 도입자원(TN) 유래 4개 QTL을 염색체 1, 8, 10번에서 확인 - MAB를 이용한 KHO 유래 QTL 국내 벼 품종군으로 이전 ○ 밀양23호/기호벼 및 진부벼/NPT 집단 분석통한 내랭성 QTL 확인 - 자포니카(기호벼, 진부벼) 대비 통일계(밀양23호) 및 자바니카 (NPT)의 고유 내랭성 관련 QTL 확인 및 도입위한 교잡실시 ○ 돌연변이 유래 비선택성 제초제 내성 및 전분특성 다양화 자원 확보 - 바스타 내성 2계통 특허출원 및 테라도 내성 자원확보 - 반찰지배 유전자위 규명 및 쌀가루용 전용 4개 우량계통 육성 ○ 약배양 등 국내 육종기술 활용 아프리카 적응 유망계통 선발 - 아프리카 현지 단일·고온 환경 적응 우량계통 선발 - 아프리카 토착질병 '누렁얼룰바이러스병' 저항 유전자원 확보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연구성과의 전문학술지 게재 및 유용자원 식물특허 지속 추진 - 신품종 육성, 확보된 주요형질지배 유전자위 및 제초제 내성 ○ 타 관련 연구 추진 위한 핵심 육종소재로 활용 - (활용 중) 쌀가루전용품종 및 KAFACI 아프리카 벼 개발 파트너십 - (과제수립) 논 이용률 향상위한 직파적응 단기성 벼 육종소재 개발 (출처 : 국문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