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
□ 연구의 목적 및 내용 1세부 연구과제에서는 1) 다양한 난소기능부전 동물 모델을 제작 및 검증, 2)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배양법에 따른 2D naive 세포와 3D spheroid 형태로의 난소기능부전 동물모델로의 이식, 3) 국소투여 및 전신투여 등과 같은 이식 경로로의 이식, 4) 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난소조직으로의 정착울 비교, 그리고 5) 줄기세포 이식에 따른 난소기능 개선 효과 및 치료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이식에 난소의 기능 회복과 이식한 줄기세포가 난소에 미치는 영향 분석함으로써, 난소질환 특이적 줄기세포치료제 개발관련 초석을 구축하고, 새로운 난소기능 개선 치료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이를 통해 난소 기능 개선 치료기술 관련 원천 기술을 확보하고, 나아가 줄기세포 치료제 개발 및 조직 재생 분야의 세계적인 선도 기술 구축을 목표로 함. □ 연구개발성과 본 과제는 다음과 같은 세부 목표를 설정하고 각 기술의 연계를 통하여 최종 목표를 달성하였음 ● 다양한 난소조직 절제술에 의한 나소기능부전 동물모델 제작 후 혈액내 E2 농도 및 AMH, FSH 등과 같은 호르몬 분석과 조직 내 난포성숙 및 발달관련 유전자 발현 분석, 그리고 난소조직에서의 성숙난포 수 분석을 통하여 제작된 난소기능부전 동물 모델 검증 완료함. ●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2D, 3D 배양법에 따른 stemness 마커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배양조건을 구축하였음 ●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를 검증된 난소기능부전 동물모델로의 이식 후 치료효능을 혈액학적, 분자생물학적, 조직학적 분석을 통하여 치료 효능을 분석하였고, 이식형태, 이식경로별 효능의 차이를 이식한 줄기세포의 정착율 및 human specific Alu seq.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여 최적의 이식법을 검증 하였음. ● 줄기세포 이식 후 난포형성 및 난소기능관련 유전자 발현을 및 조절 기전을 분석함으로써, 난소기능 개선 기전을 분석 완료하였음 □ 연구개발성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 줄기세포의 치료 효능 극대화를 위한 이식경로 및 이식 최적화 기술 분석은 난소기능부전 뿐 아니라 기타 퇴행성 혹은 난치성 질환에 범상용화 가능한 세포치료제 계발로도 연계될 수 있음 ● 난소기능부전은 세계적으로도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는 분야이므로, 난임 및 폐경기 여성의 치료법에 줄기세포 기반 새로운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국내,외적으로 줄기세포치료법 개발의 경쟁력을 증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생식의학 분야에서 선두적인 역할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함 ● 현재, 기능강화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 기반 난치성 갑상샘안질환 세포치료제 개발을 위해 한림제약 (주)으로의 naive 태반유래 중간엽줄기세포에 대한 기술 이전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으로, 본 연구개발의 성과는 다른 퇴행성 질환 세포치료제 개발로 시너지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고 사료 됨. (출처 : 요약문 4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