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조회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연구보고서 기본정보

페로브스카이트 소재가 적용된 태양전지의 핵심기술 동향

연구보고서 개요

기관명,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과제시작년도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기관명 NDSL
공개여부
사업명
과제명(한글)
과제명(영어)
과제고유번호
보고서유형 report
발행국가
언어
발행년월 2019-11-21
과제시작년도

연구보고서 개요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원문URL, 첨부파일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주관연구기관
연구책임자 이동진
주관부처
사업관리기관
내용
목차
초록 1. 개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란 명칭은 초기에는 CaTiO3의 화학식을 가진 칼슘 티탄산염으로 구성된 광물의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나, 후에 CaTiO3와 동일한 결정구조를 가진 화합물을 일컫는 말로 확장되어 사용되고 있다[1,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2009년 미야사카 그룹에서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이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 이래로 관련 연구가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4](그림 1).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는 저온 용액 공정으로 인해 태양전지 생산의 저가화가 가능하며, 높은 광흡수성과 우수한 전하이동 능력에 의해 전력변환효율이 25% 이상으로 고효율을 보여 가장 기대되는 차세대 태양전지로 가능성을 인정받고 있다[5].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는 일반적으로 ABX3의 화학조성을 지니며, A와 B는 양이온이고, X는 산소나 Cl, Br, I 등의 할로겐 원자이다[1, 3]. 표 1은 페로브스카이트 주요 후보 물질을 나타낸다[4]. 이 중 CH3NH3PbI3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제작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그림 1. 연도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관련 논문 출판 수 및 인용 수 (검색 사이트: Web of Science; 검색어: ‘Perovskite solar cell’ or ‘Perovskite photovoltaic cell’)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박막의 단순 적층 구조이며, 투명전극 기준으로 전자이동 방향에 따라 정구조(normal structure) 및 역구조(inverted structure), 투명전극 상단 전하 수송층 모양 기준으로 다공성(mesoscopic) 및 평판형(planar)으로 구분된다[5](그림 2). 현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세계 최고 효율은 한국화학연구원과 MIT가 공동연구한 25.2%이다[10](그림 3). 본 보고서에서는 대면적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을 위한 핵심기술 및 주요 상용화 관련 이슈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그림 2.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에너지밴드 다이어그램 및 구조 모식도 그림 3. 미국재생에너지연구소(NREL)에서 발표한 태양전지 최고 효율 차트 ** 원문은 파일 다운받기를 해주세요 :-)
원문URL http://click.ndsl.kr/servlet/OpenAPIDetailView?keyValue=03553784&target=REPORT&cn=KOSEN000000000001345
첨부파일

추가정보

과학기술표준분,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 순으로 구성된 표입니다.
과학기술표준분류
ICT 기술분류
주제어 (키워드)